
최근 유튜브를 통해 집을 공개한 연예인은 배우 이다해, 엄정화, 가수 미주, 슈화, 개그맨 김준호, 지예은 등이다. 유명 연예인들의 '신비주의 벗기' 취지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일부에서는 "시청자를 세심히 고려하지 않아 아쉽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실제로 집 공개 콘텐츠에 대해서는 시청자들의 불편감이 꾸준히 제기됐다. 경제 양극화가 역대 최고치로 오를 정도로 벌어지고 있고, 집을 살 수 있는 희망도 점점 희미해져 가는 상황에서 집 소개는 시청자들의 상대적인 박탈감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8일 KB국민은행이 내놓은 '7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4억572만 원으로 전달 대비 1.28% 상승했다. 지난 4월 13억원을 넘어선 후 불과 3개월 만에 1억원이 또 오른 것이다. 양극화 수치인 5분위 배율도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5분위 배율이란, 주택을 가격순으로 5등분해서 상위 20%(5분위)의 평균 가격을 하위 20%(1분위)의 평균 가격으로 나눈 값이다. 수치가 클수록 양극화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시청자들은 "누구는 하루아침에 집이 불탔는데 타이밍이 안 좋았다", "시의성을 감안하길", "불경기에 온 국민이 살기 힘든데 남의 좋은 집 구경하고 있으니 기분이 이상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하재근 대중문화평론가는 "집 공개가 요즘 TV 프로그램에서 굉장히 중요한 콘텐츠이긴 하지만 (시기를 고려해) 조심해야 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정다연 텐아시아 기자 light@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