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라는 김건모의 탈락을 인정하지 못하고 눈물을 흘렸고, 김건모는 제작진이 제시한 재도전을 받아들였다. ‘나는 가수다’가 두 사람을 뮤지션으로 존중했다면 그들의 감정이 나오는 순간을 최대한 부드럽게 넘길 수 있었을 것이다. 반면 예능에 충실했다면 재도전은 없었어야 했다. 하지만 ‘나는 가수다’는 이소라와 김건모가 갈등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재도전을 제시했다. 인터넷에는 두 사람에 대한 비난이 쏟아진다. 그러나, 두 사람은 ‘리얼’리티 쇼에서 감정에 충실했을 뿐이다. 출연자의 솔직한 반응은 리얼리티 쇼의 필수요소다. 문제는 두 사람의 반응이 서바이벌이라는 리얼리티 쇼의 전제 자체를 깨는 핑계로 이용됐다는데 있다. 쇼의 전제가 깨지면서 두 사람은 리얼리티 쇼의 출연자가 아니라 쇼를 망친 뮤지션이 됐다.
뮤지션과 대중, 그 어느 쪽도 존중하지 않는 제작진
그러나 김영희 PD는 김건모의 탈락이 노래 마지막에 바른 립스틱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그의 발언은 ‘나는 가수다’의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을 설명하는 열쇠다. 그는 이 가수들의 노래가 누군가에게 실망을 줄 수 있다는 현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지난 2주 동안, ‘나는 가수다’는 거의 모든 것을 음악에 의존했다. 가수들의 노래는 중간평가에서, 리허설 과정에서, 쇼의 마지막에서, 다시 쇼의 처음에서 계속 반복됐다. 이소라와 백지영의 노래는 쇼의 맥락과 상관없이 미리 공개됐다. 이런 음악의 사용은 음악이 갖는 힘에 대한 맹신이 있을 때 가능하다. 이 뛰어난 가수들의 무대는 무조건 훌륭한 것이고, 무조건 감동적인 것이어야 한다.
가수가 살린 프로그램으로서 최소한의 도리를
그래서 ‘나는 가수다’의 재도전 논란은 한편으로는 다행이고, 한편으로는 앞으로 이어질 불행의 전조처럼 보인다. 앞으로 ‘나는 가수다’에서 이런 무리수는 등장하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김영희 PD가 지금처럼 쇼와 음악을 대하면 ‘나는 가수다’의 본질적인 문제는 변하지 않는다. 뮤지션들은 룰렛이 어떤 노래를 선택하든 미션을 완벽하게 소화해야 하고, 탈락자가 발표 돼도 감정에 초연해야 한다. 또한 대중의 취향에 상관없이 그들을 무조건 감동 시킬 수 있어야 하고, 대중은 그런 가수들의 모습에 박수치며 “레전드!”를 외쳐야 한다. 그러지 못하면 누군가 또다시 이소라나 김건모처럼 될 수 있다. 그건 뮤지션의 지옥이다. ‘나는 가수다’의 출연 가수들이 발표한 음원이 계속 좋은 성적을 거둘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성적과 별개로 지금 김영희 PD가 만들어내는 무대는 대중에게 음악과 뮤지션의 현실을 왜곡시킬 소지가 다분하다. 지금 김영희 PD가 할 일은 음악과 대중에 대한 어설픈 개입이 아니라 쇼를 쇼답게 만드는 일이다. 뮤지션들은 명예를 걸고 노래한다. 하지만 김영희 PD가 지금까지 무대가 절실한 뮤지션들을 모아 노래를 부르게 하는 것 외엔 무엇을 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가 자신의 생각을 보여주기 보다는 쇼를 위해 더 재밌는 연출을 해주길 바란다. 보다 못한 시청자들이 ‘너는 PD냐’라고 묻기 전에.
글. 강명석 two@
편집. 이지혜 seven@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