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스티브 잡스는 ‘췌장 신경내분비 종양’을 진단받았다. 이는 일반적인 췌장암보다 진행 속도가 느리고 생존율이 90%를 넘는 비교적 예후가 좋은 암이었다. 그러나 잡스는 수술을 통해 종양을 제거하자는 의료진의 권고를 거부하고 수술받지 않겠다고 선언한다. 그 고집은 진단받은 2003년 10월부터 약 9개월 동안 이어졌다. 세기를 바꾼 혁신가 스티브 잡스, 그는 왜 그런 선택을 했을까.
자신만의 치료법을 고집하던 잡스는 일상에서도 완벽과 통제에 대한 강한 집착을 보였다. 그는 자동차 번호판이 차량의 완벽한 디자인을 해친다고 여겨, 번호판을 달지 않기 위해 6개월마다 새 차로 바꾸곤 했다. 또 과일 위주의 채식이 몸속의 해로운 점액과 체취를 없애준다고 믿어 샤워하지 않아도 된다는 등 이해하기 어려운 주장을 하기도 했다. 이처럼 완벽을 향한 집착이 때로는 극단으로 치달았던 잡스의 일화가 공개되자, 이찬원은 “완전 돌아이 아냐?”라며 너스레를 떨었다.
스티브 잡스의 신념은 기적이었을까, 비극이었을까? 그의 사후, 뜻밖의 유산이 공개되며 출연자들의 관심이 쏠렸다. 이낙준은 “그가 생전 마지막으로 관심을 보였던 ‘한 가지 기술’이 훗날 현대 의학의 방향을 바꿨다”며 흥미로운 사실을 밝혔다. 현재, 이 기술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 불과 10만 원대의 비용으로도 누구나 손쉽게 개인의 건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이 이야기가 전해지자, 스튜디오는 놀라움과 감탄으로 가득 찼다. 하지만, 잡스의 사례처럼 “내 몸은 내가 가장 잘 안다”고 믿기 쉽지만, 질병은 절대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의료진의 진단과 과학적 치료 원칙을 우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스티브 잡스의 이야기를 통해 ‘의학과 신념의 경계’에서 인간이 얼마나 쉽게 위험한 선택을 할 수 있는지를 경고했다.
천재인가, 광인인가. 세상을 바꾼 실리콘 밸리의 전설! KBS 2TV ‘셀럽병사의 비밀’ 스티브 잡스 편은 오는 11일 밤 8시 30분에 방송되며, 이후 웨이브(Wavve)에서도 시청 가능하다.
류예지 텐아시아 기자 ryuperstar@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이광수, 영화배우 아시아프린스[TEN포토]](https://img.tenasia.co.kr/photo/202511/BF.42333334.3.jpg)
![김성훈 감독-이광수, 나혼자 프린스 힘찬 파이팅![TEN포토]](https://img.tenasia.co.kr/photo/202511/BF.42333285.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