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위치한 한 카페에서 우민호 감독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하얼빈'은 1909년 하나의 목적을 위해 하얼빈으로 향하는 이들과 이를 쫓는 자들 사이의 숨 막히는 추적과 의심을 그린 작품. 안중근(현빈 분)을 필두로 우덕순(박정민 분), 김상현(조우진 분), 공부인(전여빈 분), 최재형(유재명 분), 이창섭(이동욱 분) 등이 독립군으로 함께 했다. 이토 히로부미(릴리 프랭키 분)를 처단하기 위해 블라디보스토크를 거쳐 하얼빈으로 향하며 일본군의 추격 등 격랑을 헤쳐 나간다.
우 감독은 2번의 기자간담회, 언론배급시사회에서 안중근 포함 독립군의 투지와 열정에 끊임없는 존경심을 표했다. 마지막 간담회장에서는 그 숭고한 뜻에 대한 죄송함과 감사함에 울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아는 이야기, 안중근 장군의 거사다. 이미 여러 차례 작품으로 나오기도 했다. 그렇다면 우 감독은 왜 '안중근 장군'을 차기작의 소재로 택했을까.
그는 "우연하게 안중근 장군 관련 서적을 읽었다. 그 당시 30세이셨더라. 이렇게 젊으셨나, 몰랐다. 읽어보니 처음부터 영웅이 아니었더라. 처음엔 실패한 패장이었다. 비난도 많이 받았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얼빈까지 갈 수 있었을까. 역경들이 있지 않았을까. 두려움이 있지 않았을까. 그런 생각이 들더라. 단순히 나라를 되찾자는 거에서 끝나지 않았다. 포기하지 말고 (독립을) 이룰 때까지 끝까지 가야 한다는 그 마음. 나에게 하는 말 같았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신파는 최대한 배제했다. 이 영화와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다르게 찍어보려고 했다. 묵직하게 담고 싶었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내가 일반적으로 대중이 좋아하는 연출 스타일을 모르겠나. 그러나 이 작품은 그렇게 찍고 싶지 않았다. 여운이 오래 남길 바라는 마음이다. 그러려면 자극적이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 음식도 그렇지 않나. 다시 꺼내서 먹고 싶은, 오래가는 그런 느낌. 숭고하고 품격있게 찍고 싶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토론토 영화제에서는 2500명의 관객에게서 환호성과 박수를 받았다. 기립하기도 하더라. 우리 역사를 모르는데 어쩜 이렇게 열정적으로 볼까 싶었다. 한국 기자들의 반응이 서운하지는 않다"라고 너스레를 떨었다.
'하얼빈'은 오는 24일 개봉 예정이다.
류예지 텐아시아 기자 ryuperstar@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