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S 신관에서 '2024 파리하계올림픽 KBS 방송단' 발대식이 열렸다. 이날 발대식에는 이번 올림픽 중계방송의 메인 MC를 맡은 이현이와 송해나, 해설위원 박세리, 김준호, 김정환, 기보배, 이원희가 참석했다.
김준호 해설위원은 "저는 개인적으로 선수를 은퇴한지 얼마 안 됐기에 1등 2등 성적 물론 중요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아직까지 우리나라 문화 자체가 성적 제일주의인 것 같은 느낌이 있다"고 소신을 밝혔다.
이어 그는 "개인적으로 느끼기에 분위기 자체가 올림픽 가기전에 메달 가능성이 높은 선수들 인터뷰를 많이 하지 않나. 모든 선수들이 똑같은 입장과 위치라고 생각한다. 메달 가능성이 있던 없던 간에 선수들이 경기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시면 감사하겠다. 결과에 관한 해설은 저희가 하고 선수 입장에서는 부담이 덜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해설을 맡은 소감을 전했다.

박세리 해설위원은 "오랫동안 많이 느꼈던 부분이긴 한데 선수들 같은 경우에는 성적이 다 말하지 않나. 성적으로 모든 것을 평가하는 문화가 많이 차지할 텐데 어느 누구도 노력 없이 그 자리에 가진 않는다. 누구나 다 열심히 하고 똑같이 열심히 해도 실력이 좋아서, 운이 좋아서 갈 수도 있고 인지도가 높아지는 부분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2020년 도쿄 올림픽 부터는 달라진 분위기를 느꼈다고 한다. 박세리 해설 위원은 "저번 올림픽 부터는 굉장히 분위기가 달라졌다는 것을 알았다. 모든 선수들의 노력을 알아주는 분위기가 됐더라. 물론 성적도 중요하만 올림픽에 출전하는 자격을 따는 게 메달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그렇겠지만 조금 인식이 달라졌으면 하는 생각"이라며 "(해설은) 어느 쪽으로 치우치거나 기울지는 않을 것 같다. 해설하면서도 잘못된 부분은 찝어서 얘기를 하겠지만 그 과정을 가지고는 얘기하지 않을 것 같다. 그 선수의 노력과 성적에 관해서는 인정해줘야 할 것은 인정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앞으로도 분위기 부분에서는 달라졌으면 한다. 그렇다면 희망을 갖고 스포츠계를 끌어나갈 수 있을 것 같다"고 바램을 드러냈다.
김세아 텐아시아 기자 haesmik@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