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묘'는 거액의 돈을 받고 수상한 묘를 이장한 풍수사와 장의사, 무속인들에게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을 담은 오컬트 미스터리 영화. 장재현 감독은 오는 15일(이하 현지시간) 개막하는 제74회 베를린국제영화제에 참석해 개막식 레드카펫, 월드 프리미어 상영 및 Q&A 등 일정을 소화한다.
'파묘'가 베를린영화제에서 초청된 부문은 포럼 섹션으로, 독창적이고 도전적인 색채와 독보적이고 신비로운 개성을 가진 영화들로 구성된다. 앞서 이 부문에 한국 상업 영화들 가운데는 박찬욱 '복수는 나의 것'(2022), 김지운 감독 '장화, 홍련'(2003), '김태용 감독 '만추'(2011), 봉준호 감독 '설국열차'(2013) 등이 초청됐다. 장재현 감독이 이들의 뒤를 잇게 된 것.

영화의 주요 인물은 풍수사 상덕(최민식 분), 장의사 영근(유해진 분), 무당 화림(김고은 분)과 봉길(이도현 분)이다. 거액의 의뢰를 바다은 화림과 봉길은 기이한 병이 대물림되는 집안의 장손을 만난 뒤, 조상의 묫자리가 화근임을 알고 이장을 권한다. 돈 냄새를 맡은 상덕과 영근이 이번 이장에 합류한다. 절대 사람이 묻힐 수 없는 악지에서 시작된 파묘, 그리고 그곳에서 나온 '험한 것'의 등장이 충격을 전하며 오컬트 장르의 정수를 보여준다는 게 '파묘' 측의 설명이다. 동양 문화권에서는 익숙한 풍습을 영화적으로 풀어내 기발하다는 느낌을, 서양 문화권에서는 신선한 소재를 영화적으로 표현해 새롭다는 느낌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장 감독은 '검은 사제들'을 통해 장편 영화에 데뷔했다. '검은 사제들'을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오컬트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544만 명이라는 관객을 모았다. 비수기인 11월에 역대 11월 개봉한 한국 영화 중 100만 관객을 가장 짧은 시간에 동원했던 작품이기도 하다. 사이비 종교를 소재로 한 '사바하'로는 동양식 오컬트의 층을 더욱 견고히 쌓았다는 평을 받는다.
오컬트 장르 특화 감독으로 꼽히는 장재현 감독. 한국적이고 민속적인 것들을 담은 '파묘'로 다시 한 번 관객들을 놀라게 할 준비를 마쳤다.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bella@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