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예지의 예지력>>
1234일만에 돌아온 KBS '개그콘서트'
여전한 외모 비하 개그에 시대착오적 발상
소재 한계점 有
1234일만에 돌아온 KBS '개그콘서트'
여전한 외모 비하 개그에 시대착오적 발상
소재 한계점 有

류예지 텐아시아 기자가 연예계의 미래와 그 파급력을 꿰뚫어봅니다.
'개그콘서트'가 1234일 만에 돌아왔다. 일요일 밤의 웃음을 책임지겠다고 호언장담했지만, 첫방송은 아쉬움이 컸다. 공영방송인 KBS에서 진행되는 만큼 개그 소재와 표현의 제약, 엄격한 잣대를 의식한 눈치다. 개콘이 예전의 명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개그를 개그로 보는 대중적 시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따른다. 유튜브 등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자유도는 보장해야 한다는 취지다.
지난 12일 '개콘' 첫 방송의 막이 올랐다. 3년 넘는 시간 동안 휴식기를 가진 '개콘'이었기에 첫 방송 시청률은 4.7%로 준수한 성적표를 받았다. '개콘'은 그동안 신입 개그맨들을 영입하고 MZ세대의 트렌드를 읽으려 했다. 나름의 개그판 세대교체도 이루려고 했으나 기본적인 웃음 코드는 그대로였다는 게 대체적 평가다. 아직까진 새로운 개그 플랫폼으로서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시 돌아온 '개콘'은 '2023 봉숭아학당'을 시작으로 '금쪽유치원', '니퉁의 인간극장', '진상 조련사', '숏폼 플레이', '형이야', '대한결혼만세', '볼게요', '데프콘 닮은 여자 어때요?', '우리 둘의 블루스', '팩트라마', '내시 똥군기', '바니바니', '소통왕 말자 할매' 등 다채로운 성격을 띠는 14개의 코너를 선보였다.







하지만 첫 회에서 보여준 개그콘서트의 모습은 공영 방송이라는 틀 속에서 아직 꿈틀대고 있다. 앞서 개그맨 장동민이 "세계적 쉐프(능력있는 개그맨)도 썩은 재료(소재의 한계)로 맛있는 음식(웃긴 개그)을 만들 순 없다"고 지적한 부분과도 일맥상통한다.
첫 술에 배부를 순 없다. 소재의 한계는 분명히 있다. 문제는 그 '핑계'가 대중들에겐 통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어디까지나 공급자인 제작진과 출연진의 사정일 뿐, 대중은 웃기지 못하는 프로그램을 봐주지 않는다. 제작진은 출연진과의 소통을 통해 이들이 자신들의 능력을 맘껏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KBS는 개그콘서트가 제자리를 찾을 때까지 '방패막이' 역할을 해야 한다. 결국 아이디어라는 신선한 재료로 개그콘서트를 맛있는 프로그램으로 만들 때다.
류예지 텐아시아 기자 ryuperstar@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