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고로 진학한 그는 학교 선배와 함께 ‘PROGRESSIVE ELECTRONIC DYNAMIC TEAM’의 이니셜을 딴 4인조 밴드 페디트(PEDT)를 결성했다. 록 음악을 좋아했던 선생님의 도움으로 학교 체육관과 주말에는 동네 노래방을 빌려서 합주를 했다. 노래방 앰프를 빌려 아무도 봐주는 사람이 없는 ‘반월공원’에서 버스킹을 시작했다. 고3이 되어 의정부로 원정 버스킹을 갔다가 현장에서 우연하게 ‘청산기획’ 관계자의 눈에 들어 스카우트 되었다. 당시 댄스가수 유승준이 절정의 인기몰이를 했던 시기. 밴드음악을 하고 싶었던 그는 기획사에서 댄스가수를 권유하자 숨도 쉬지 않고 그만두었다.
ADVERTISEMENT
JOLLY 밴드 시절 박건준(위), 마리서사 공연(아래)
5개월 정도 명동 커피숍 알바를 했던 그는 서울산업대에 다녔던 고향친구의 학교 동아리 밴드에 들어가 연습을 하면서 3인조 밴드 졸리(jolly)를 결성해 2001년 홍대 플레이 하우스 록 클럽에서 공연을 이어갔다. 당시 함께 클럽무대에 선 밴드는 꽃미남 록밴드 미라클 SG. 이들은 2002년 발표된 컴필레이션 앨범 ‘Play House Family’에 함께 참여했고 밴드 졸리는 정규앨범까지 발표했다. 2003년 밴드 멤버들이 모두 군대에 가버려 팀이 깨져버렸다. 박건준도 군대에 가려했는데 우연히 신해철의 ‘고스트스테이션’ 라디오방송에서 자신이 부른 ‘혼자가 싫어’가 인디차트 7위곡으로 소개되며 흘러나왔다. 몇 주가 지나 1위까지 등극하니 음악을 더 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해졌다. 갑자기 신해철로부터 “콘서트를 하는데 오프닝 무대에 서 달라.”는 전화가 왔다.팀이 해체된 상태였기에 새로운 멤버를 찾아야 했다. 밴드 라즈의 기타리스트 임민서는 클럽 ‘플레이 하우스’에서 만나 친하게 지냈던 동생이다. 임민서는 “군대에 가려고 했는데 건준 형이 베이스 치라고 해 인생 망쳤습니다.”라고 웃는다. 데뷔 때 이름은 ‘임진호’였기에 개명 이유를 묻자 “2010년 어머니가 이름 때문에 팔자가 나쁘다며 유명한 철학관에 40만원이나 주고 지혁, 환희. 준서 등 이름을 다섯 개나 주었다. 제일 좋은 이름이 학성이라 하는데 택시 기사 이름 같아 어감이 제일 좋은 민서를 택했어요.”라며 웃는다.
ADVERTISEMENT
인창고에 진학해 같은 학교에 다녔던 형의 추천으로 5인조 스쿨밴드 익스프레스에 들어갔다. 선배들에게 기타를 배웠는데 엉망진창인지라 2년 정도 종로 삼성음악학원에서 일렉트릭 기타를 배웠다. 어느 날 인터넷에서 밴드구인 광고보고 4인조 록밴드 라즈에 들어갔다. 자작곡 개념도 없이 일본 음악을 주로 했는데 클럽 오디션 마다 다 미역국을 먹었다. 마지막으로 간 곳이 박건준이 있던 클럽 ‘플레이하우스’였다. “사실 저희는 연주가 별로였는데 심사를 봤던 건준형이 자고 있다가 ‘어 괜찮네 해봐’라고 하더군요. 그때가 한 참 비주얼 음악이 뜨던 시절인데 저희 멤버들의 외모를 보고 뽑아준 것 같아요. 당시 건준형이 공연을 하면 여자들은 별로 좋아하지 않았지만 저는 자기 곡을 노래하는 모습이 멋있게 보였죠. 그때 말을 걸지 말아야했는데 우유하나를 받아먹으면서 친해져 버렸습니다(웃음).”
박건준은 “민서를 처음 봤을 때 기타 들고 있는 자체가 폼이 났습니다. 음악은 중요하지 않았죠. 당시 일본에는 잘생긴 밴드가 너무 많아 질투를 느꼈어요. 음악은 우리가 나은데 인기는 비주얼 밴드가 좋았던 게 사실입니다.”라고 말한다. 임민서는 “당시 아버지 건강이 나빠졌는데 형은 군에 가 있어 제가 병간호를 했습니다. 아침 7시에 일어나 하루 종일 병간호를 5년이나 하면서 내가 뭐하고 있는지 항상 우울했습니다. 그래서 신나는 음악이 싫고 우울한 노래가 뭔가 멋있어 보였고 위로가 되었죠. 지금도 마찬가지입니다.”
ADVERTISEMENT
1집 Mary Story (2007), single 1st Album (2010), 2집 LOVESICK KOPAC(2013) (왼쪽부터)
마리서사의 정규 2집은 타이틀 ‘Lovesick’이 의미하듯 애절한 록발라드로 채색한 사랑과 이별에 대한 슬픈 음악보고서다. 1집에 비해 대중가요의 친숙한 질감이 한층 강화되었지만 동시에 ‘레몬’ 같은 실험성 강한 음악까지 2가지 음악노선이 공존하고 있다. 이는 대중성과 음악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몰이에 대한 뮤지션들의 영원한 고민에 직면해 있는 이들의 고민과 음악적 진보과정이 공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군 시절에 만든 타이틀 곡 ‘잇츠유’를 비롯해 대부분의 노래는 박건준의 창작곡이지만 ‘사랑을 애태우다’는 베이스 임민서가 작곡했고 ‘만약에’에서는 보컬로도 참여했다. 드럼 김성범은 드럼 편곡에 참여했다.이들의 노래는 슬프다. 왜 이렇게 슬픈 노래에 집착하는 것일까? 이에 대해 박건준은 “빠르고 신나는 음악은 저희 셋이랑 어울리지 않아요. 팬들이 노래를 듣고 우리를 보호하고 아껴주고 싶은 마음을 생겨나는 그런 슬픈 노래를 만들고 싶어요. 좋았던 기억이 별로 없어 기분 좋고 즐거운 것은 금방 사라질 것 같아 솔직히 두렵습니다. 어머니는 늘 슬픈 제 노래는 틀지 말라고 하셨죠. 너무 듣고 싶었지만 삶이 힘들고 고단해 못 듣겠다고 하셨는데 한번 들으시더니 너무 좋아하셨어요. 저는 노래를 만들 때 무조건 대중성을 생각합니다. 대중성이 없으면 우선 가족부터도 듣지 않아요. 그래서 레슨을 가르치는 제자들에게도 음악을 편하게 하려면 가족들에게 먼저 인정을 받으라고 말합니다.”라고 힘주어 말한다.
ADVERTISEMENT
마리서사 프로필글, 사진. 최규성 대중문화평론가 oopldh@naver.com
박건준 (1981년 10월 11일) – 보컬, 기타, 피아노
임민서 (본명:임진호, 1983년 1월 15일) – 베이스
김성범 (1983년 11월 30일) – 드럼
1999년 박건준 포천고 4인조 스쿨밴드 <페디트PEDT> 경기도 청소년가요제 최우수상
2000년 박건준 5인조 메가데스 록 밴드 <샤인> 멤버
2001년 박건준 3인조 밴드 <졸리jolly> 결성
2004년 임민서 4인조 록밴드 <라즈> 멤버
2005년 3인조 모던 록 밴드 <마리서사> 결성, 문화관광부 ‘이달의 우수신인 음반’ 전문가 심사와 네티즌투표 1위
2006년 Sky 인디그라운드 인기상
2007년 EBS 스페이스 공감 7월의 헬로루키 선정
2008년 제5회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록 노래 부문 수상 (너 없인 행복할 수 없잖아)
편집. 홍지유 jiyou@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