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마리 퀴리' 오는 19일까지

과학자 마리 퀴리(1867~1934)의 고향 폴란드로 역수입된 한국 창작 뮤지컬 '마리 퀴리'가 올해 마지막 국내 공연을 약 1주일 앞뒀다. 이 작품의 공연팀은 2022년 폴란드에서 특별 콘서트와 공연 실황 상영회를 했고, 중부 유럽의 대표적 음악 축제인 ‘바르샤바 뮤직 가든스 페스티벌’에서 그랑프리 '황금물뿌리개상'을 받았다. 국내에서는 2023년 제5회 한국뮤지컬어워즈에서 대상·프로듀서상·극본상·작곡상·연출상 등 5개 부문 수상을 기록했다. 올해 국내 마지막 공연은 이달 19일로, 얼마 남지 않았다.

이 작품의 시작은 마리 퀴리가 임종 직전에 과학자로서의 자기 삶을 돌아보는 장면이다. 그가 본격적인 과학 연구를 위해 소르본대로 가는 열차를 탔던 날, 그는 벌써 성차별·인종차별과 마주한다. 이 열차에서 마리 퀴리는 그가 폴란드인이라며 시비를 거는 불량스러운 취객을 만나고, 여자라는 이유로 앉을 자리조차 제대로 잡지 못한다. 이 사건들은 앞으로 마리 퀴리가 걸어갈 길이 녹록지 않을 것임을 암시한다. 실제로 마리 퀴리가 소르본대에 입학한 1891년은 여자에게 참정권조차 보장되지 않았을 때였다.

실험실, 공장, 강의실 등으로 빈번하게 배경 전환을 하면서도 극이 끊김 없이 이어지도록 하는 연출이 돋보인다. 조명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극적인 분위기를 빨리 끌어내고, 반투명 스크린으로 클라이맥스 장면을 꾸민 것도 관객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는다. 과학자의 양심, 공장 노동자와 기업가의 대립, 우정과 가족애 등 다양한 주제를 서로 얽히지 않게 전달하는 것도 장점이다. 이 작품은 지난해 영국 웨스트엔드 무대에도 올랐다. 당시 공연에 대해 영국 무대공연 전문 매체 'THEATRE VIBE'는 "친숙하면서도 몰입도 높은 분위기를 자아낸다"며 "마리 퀴리의 삶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준다"고 평가했다.
양병훈 기자 hun@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