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서울 삼성동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의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김병우 감독과 배우 안효섭, 이민호, 채수빈, 신승호, 나나가 참석했다.
'전독시'는 10년 이상 연재된 소설이 완결된 날 소설 속 세계가 현실이 되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린 판타지 액션. 지하철 3호선의 금호역, 충무로역 등이 극 중 주요 배경이다. 원작인 동명의 웹소설은 글로벌 누적 조회수 3억뷰 이상을 기록했다.

김 감독은 '판타지 액션이라는 재미'와 '더불어 살아간다는 의미'까지 챙기려고 노력했다. 김 감독은 "액션 판타지라고 하면 관객들이 기대하는 점이 있을 것이다. 뭔가 더 할 수 있다면 무엇일까 고민했다"라고 털어놨다. 이어 "원작에 좋은 가치들이 많이 있지만 제가 좀 더 눈여겨봤던 것은 '함께한다는 것'이었다. 김독자가 자신이 알고 있는 능력을 자신만을 위해 쓰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살아남기 위해 어떻게 쓸 것인가'가 원작에서 제게 크게 다가왔던 부분이다. 그래서 인물의 내면을 그려보는 신들을 좀 더 생각해봤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제가 가장 중점으로 삼은 것은 인물의 내면"이라며 "관객들이 장르 영화 관람에서 끝나지 않고 극장을 나갈 때 '이 영화가 이런 의미가 있구나'를 느끼게 하고픈 욕심이 있었다"고 강조했다.

유명 원작을 두고 안효섭은 "처음 대본을 접했을 땐 이렇게까지 큰 IP인 줄 몰랐다"라고 털어놨다. 이어 "대본만으로도 재밌었다. 한국에서 실사화됐을 때 얼마나 재밌을지 배우로서도 영화를 좋아하는 팬으로서도 기대됐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많은 기대를 받다 보면 부담감이 갈 수밖에 없지 않나. 하지만 부정적인 부담감은 도움이 안 된다. 제가 할 수 있는 건 최선을 다하는 것이었다. 현장에서 하루하루 부끄럽지 않게 촬영했다. 제 나름에는 최선을 다했다"며 "제 바람은 원작 팬들뿐만 아니라 원작 팬들이 아닌 분들도 재밌게 즐길 수 있었으면 한다"라고 전했다.

이전에 연기했던 캐릭터들과 비교해서는 "김독자가 주인공이지만 가장 주인공 같지 않다"라며 "이전 캐릭터들에겐 특별한 강점이나 매력이 있었다. 김독자는 오히려 슴슴하고 평범하다. 그것이 김독자의 가장 큰 무기다. 그런 점에서 제가 한 번도 해보지 못했던 '일반적인 캐릭터'였다"라고 말했다.

판타지물인 만큼 영화의 많은 부분에 CG가 활용됐다. 이민호는 "상상과 창의성이 중요할 것이라 생각했다. 평소 헛된 상상을 하는 편이 아닌데 이번에는 상상을 많이 했다. 풍요로운 감정을 얻는 계기가 됐다"라고 말했다. 이어 "물론 직접 눈으로 보고 바람을 맞으며 연기하면 더 좋겠지만, 앞으로는 배우가 감수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고 이야기했다.
극 중 유중혁은 회귀 능력으로 모두가 죽어도 홀로 살아남으며, 고독한 삶을 이어간다. 이민호는 "작품을 판타지보다는 '내가 유중혁과 같은 상황에 처해 있다면?'에서 접근했다"며 "충분히 외롭고 쓸쓸하게 작업했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극 중 유상아는 명주실을 자유자재로 만들어 활용하는 스킬이 있다. 채수빈은 "저는 무기도 칼이 아닌 실을 썼다. 감독님, 무술팀과 많은 얘기를 나눴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장에서 실뜨기를 많이 했다. 쉽지 않았다"며 웃음을 자아냈다.


'전독시'는 오는 23일 개봉한다.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bella@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