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 DB
배우 조보아가 결혼 후 첫 복귀작으로 사극 '탄금'을 택했다. 남매와 연인을 오가는 독특한 설정의 로맨스 '탄금'으로 글로벌 시청자를 찾는다.
13일 서울 신도림동 라마다 신도림 호텔에서 넷플릭스 시리즈 ‘탄금’ 제작발표회가 열렸다. 행사에는 김홍선 감독과 배우 이재욱, 조보아, 정가람, 엄지원, 박병은이 참석했다.
텐아시아 DB
'탄금'은 실종됐던 조선 최대 상단의 아들 홍랑(이재욱 분)이 기억을 잃은 채 12년 만에 돌아오고, 이복누이 재이(조보아 분)만이 그의 실체를 의심하는 가운데 둘 사이 싹트는 알 수 없는 감정을 그린 미스터리 멜로 사극이다.
넷플릭스 시리즈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과 오컬트 드라마의 신기원인 '손 the guest', 그리고 신선한 설정이 눈에 띄었던 '보이스'를 연출한 김홍선 감독과, Apple TV+의 SF 스릴러 'Dr.브레인' 김진아 작가가 의기투합했다.
텐아시아 DB
김홍선 감독은 "소설책을 먼저 봤는데 단숨에 읽었다. 우리가 '운명'이란 말을 하지 않느냐. 책에 나오는 캐릭터들은 자기 운명을 한 명도 따라가지 않는다. 그런 강력한 스토리에 끌렸다"고 연출 계기를 밝혔다.
이어 "우리 작품의 가장 큰 주제 의식이 그리움이다. 그리움이 사무치면 원망, 원한이 되기도 사랑이 되기도 한다. 복합적 감정이 생기는 것"이라며 "'탄금'에는 그런 감정이 많다. 이것이 다치지 않는 선에서 미스터리, 사극, 액션을 배치하려고 했다"고 덧붙였다.
텐아시아 DB
이재욱은 실종 전 기억을 모두 잃고 비밀을 지닌 채 돌아온 민상단의 잃어버린 아들 홍랑으로 분했다. 이재욱은 홍랑의 비밀을 묻자 "홍랑이 진짜일지 아닐지, 초반부 관전포인트가 될 거 같다"며 액션 신과 관련해서는 "이전과는 달랐다. 무술 감독님이 짜준 시퀀스가 스타일리시하더라. 난이도가 있는 액션이 많았다. 많이 연습하러 갔다"고 말했다.
텐아시아 DB
조보아는 돌아온 홍랑을 가짜라고 의심하면서도 그에게 점차 빠져드는 이복누이 재이 역으로 분한다. 조보아는 재이에 관해 "유일한 가족이라고 생각한 홍랑이 실종되면서 내내 홍랑만 찾는 그리움 가득한 인물"이라며 "12년 만에 나타난 홍랑의 진위를 가리는 중에 처음 느끼는 새로운 감정에 휩싸인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탄금'을 읽으면서 동생 홍랑이를 그리워하는 누이의 마음을 표현해보고 싶었다. 사랑하는 가족 동생으로서의 감정과 나도 모르게 끌리는 감정이 어렵긴 했지만 분리하려고 노력했다"고 알렸다.
이번 작품은 조보아가 지난해 10월 결혼 이후 선택한 복귀작이기도 하다. 조보아는 "오랜 시간 동안 촬영을 진행했고 오랜 시간 후반작업을 통해서 드디어 공개하게 됐다. 작업기간이 오래 걸린 만큼 설렘도 긴장도 크다"고 소감을 털어놨다.
텐아시아 DB
정가람은 사라진 홍랑을 대신해 상단의 양자로 들어간 무진으로 분했다. '탄금'으로 첫 사극에 도전한 그는 "배우라면 사극에 도전하고 싶은 욕심이 있는데 좋은 감독님 배우분들과 함께할 수 있어 영광이었다. 소품 하나하나가 디테일해서 함부로 만질 수 없었다. 웅장한 배경들이 많이 기억에 남는다. 한국에 이런 좋은 곳들이 많구나 느끼면서 촬영장에 갈 때마다 눈이 정화된 느낌이었다"라고 고백했다.
텐아시아 DB
엄지원은 잃어버린 아들을 되찾기 위해 어떤 일도 서슴지 않는 상단의 안주인 민연의를 연기한다. 엄지원은 "아름답지만 무섭고 잔혹한 인물"이라며 "사극이 너무 끌려서 하게 됐고, 감독님의 힘 있는 연출력에 대한 믿음이 있었다. 의상과 헤어 메이크업에 공을 들였다. 미장센이 아름다운 작품"이라고 말했다.
텐아시아 DB
박병은은 홍랑과 재이의 친부이자 상단의 수장인 심열국 역에 도전한다. 그는 "야망이나 이런 것들을 표현하는 배우들의 여러 연기를 보면 좀 더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감정도 격화시키지만, 심열국은 오히려 겉에서 볼 때 평안한 상태처럼 보이려고 했다. 목소리 톤이나 성격을 보이기보다는 찰나의 눈빛, 호흡을 좀 더 가지고 가려고 했다. 연기할 땐 오히려 힘들었다"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김홍선 감독은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에 공개가 되는 작품이고 세계에 우리의 것, 아름다움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하지 않나 라는 생각으로 준비했다. 될 수 있으면 고증하려고 했고 한복이라든지 이런 부분들을 패셔너블하게 가져가지 말고 질감이라든가 원단 소재라든가 이런 부분들을 신경 쓰려고 한 작품이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