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럿'에 이어 '행복의 나라'를 선보이는 조정석이 천만 관객 돌파를 노린다.
조정석은 지난 13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영화 '행복의 나라' 관련 인터뷰를 진행,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줬다.
'행복의 나라'는 1979년 10월 26일 상관의 명령으로 인해 대통령 암살 사건에 연루된 박태주(이선균 분)와 그의 변호를 맡으며 정치 재판에 뛰어든 변호사 정인후(조정석 분)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1979년 12·12 군사반란의 주요 계기로 꼽히는 10·26 사건과 그 직후 상황의 실화를 모티브로 했다. 조정석은 박태주의 변호사 정인후로 분해 열연을 펼쳤다.

이어 "영화를 보고 나니 왜 살 빼지 말라고 하셨는지 알겠더라. 그 당시 1979년대 사람 같더라"라면서도 "갓 캐낸 흙감자라는 말을 들었다"라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그러면서 "저에게 서민적이고 코믹, 유쾌한 캐릭터나 로맨틱 코미디 장르에 기대를 해주시는 걸 잘 안다. '행복의 나라' 정인후처럼 이런 역할들은 저한테 많이 찾아오지 않는 기회라고 생각했다"라며 "어떤 역할이든 갈증은 있지만, 빈도수로 봤을 때 상대적으로 못해본 스릴러, 누아르에 대한 갈증은 늘 있다"라고 밝혔다.
조정석은 함께 호흡을 맞춘 유재명에 대해 "시나리오를 받고 고사하고 있다는 소리를 들었다. 유재명이란 배우는 최고지 않나. 몇 번 작품을 해봤지만 대치하는 작품을 만나기 쉽지 않아서 해보고 싶었다. 형님이 너무 잘할 것 같았다. '슬기로운 의사생활' 카메오로 오셨을 때 조심스럽게 '형 진짜 한번 진지하게 생각해봐'라고 조심스럽게 말했다"라며 "분장한 유재명의 모습은 되게 위협적이고 무서웠다. '이런 얼굴이 또 있구나'라는 생각이 제일 먼저 들었다. 촬영에 들어가서는 너무 무섭더라. 제가 보지 못했던 눈빛들을 발견했다. 촬영이 다 끝나고 분장을 지우면 러블리한 재명이 형으로 돌아온다. 확연한 차이를 느끼니까 무섭더라"라고 극찬했다.

영화를 보다가 무너진 순간도 있었다고. 조정석은 "영화를 영화로 제대로 보고 싶어서 최대한 사적인 마음을 배제하면서 봤다"고 말하면서도 "그런데 어느 순간 무너지더라. 제가 이원종 선배님을 증인대에 세우려고 확답을 얻고 기분 좋다고 와서 취조실에서 '한다면 한다'고 하면서 박태주와 하이파이브 하던 장면에서 무너졌다"라고 털어놨다.
그간 구체적인 목표 관객을 전하지 않던 조정석은 '행복의 나라'는 천만 관객을 돌파했으면 좋겠다고 이야기한 바 있다. 그는 "만듦새가 좋만듦새가 좋은 영화라 많은 분이 극장에서 봐주셨으면 좋겠다. 이선균이란 배우의 마지막 유작이라는 점도 그런 말을 하게 된 이유다"라고 전했다.
김서윤 텐아시아 기자 seogugu@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