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2일 오후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선 아직은 '어느 운 좋은 도둑 이야기' - 구하라 금고 도난 사건이 조명됐다. 2019년 11월 24일 사망한 구하라의 유서가 발견되지 않은 상태다. 가사 도우미는 "구하라가 만일을 대비해 유서를 작성해뒀다"고 이야기했다. 구하라의 친오빠인 구호인 씨는 "금고를 열어봤지만, 유서를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제작진은 범인이 노린 휴대전화 안에 고인의 뜻이 담겨 있거나, 누군가의 잘못된 과거가 휴대전화에 기록돼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구호인 씨도 "단순한 절도 사건이 아니"라면서 "어떻게 사람이 이럴 수 있느냐. 고인의 물건을 훔쳐 간다는 자체가 용납이 안 된다"며 분노했다.

구호인 씨는 "나도 그 문을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놀러 온 사람들도 다용도실 끝까지 가야 철문이 보였을 거다. 다용도실에 물건이 엄청 많이 놓여 있었다"고 설명했다. 경찰도 "그것 때문에 범인이 지인일 가능성에 두고 수사를 했다. 기지국 수사도 했다. 뭐가 나올 줄 알았는데 안 나왔다"고 답답해했다.
제작진은 용의자가 면식범이 아닌, 범행을 사주받은 청부업자 혹은 심부름센터 관계자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CCTV 영상 화질을 개선해 확인한 결과, 범인은 디지털 도어록 숫자판을 활성화하지도 못했다.
표창원 범죄과학연구소 소장은 "문이 열릴 거라는 기대를 가진 사람으로 볼 수 있다. 비밀번호를 알고 있거나 아는 사람으로부터 전달받았지만 좌절된 것"이라며 "돈을 받은 대로 자기 일만 해주고, 이외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는 심부름센터, 청부를 주로 맡아서 행하는 사람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소정 텐아시아 기자 forusojung@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