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잠' 유재선 감독 인터뷰
오는 9월 6일 개봉
오는 9월 6일 개봉

유재선 감독은 23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위치한 한 카페에서 영화 '잠' 인터뷰에 나섰다.

유재선 감독은 단편영화 '부탁'을 통해 부천국제판타스틱 영화제에서 판타스틱 단편 작품상을 수상했다. 이어 '은밀하게 위대하게'와 '옥자'의 연출부, '버닝'의 영문 자막 번역 등 다양한 이력을 쌓고 그가 직접 각본을 쓰고 만든 첫 장편영화인 '잠'을 만들어 제76회 칸 국제영화제 비평가주간에 초청되기도 했다.

칸 국제영화제에서 '잠'을 선보인 소감에 관해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일이 잘 풀렸던 케이스였던 것 같다. '모든 운을 이 작품에 쓴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도 들었다. 처음에는 제작사로부터 전화를 받았었다. 그때가 새벽이었는데 기억하는 것으로는 아내가 잠들어있어서 혼자 듣고, 수진이 현수한테 속삭이듯이 말을 걸었다. 잠결에 대답하듯이 '칸 됐다'라고 이야기해서 아내와 함께 춤을 췄던 경험이 있다"라고 말하며 웃음을 터뜨렸다.
이어 "모든 것이 초현실적이다. 한 시간도 안 되어서 굉장한 두려움이 대체했던 것 같다. 처음 영화를 선보이는 것이라서 데뷔작을 전 세계 영화인들이 바라볼까 하는 생각도 했다. 거품이라고 하면 어떻게 할지라는 걱정과 두려움도 있었다. 동일한 악몽을 여러 차례 꾸기도 했다. 다행히 관객분들의 반응이 걱정보다는 좋아서 너무나도 안도했던 기억이 난다. 세계의 반응이 좋아서 감사했지만, 한국 관객들을 염두에 두고 가장 중요한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봉준호 감독과 함께 일하며 어떤 부분을 배웠냐고 묻자 "스토리보드의 중요성을 배운 것 같다. 봉준호 감독님 같은 경우에도 본인이 스토리보드를 그리시고 촬영하려고 하셨다. 아무래도 영화를 배운 것이 봉준호 감독님이다 보니 시나리오를 완성하자마자 바로 한 것이 나의 버전의 스토리버전을 그리는 것이었다. 촬영 당시에도 스토리보드를 따르려고 노력을 많이 했다"라고 설명했다.
시나리오를 어떤 식으로 구상하고 준비했냐고 묻자 "대한민국에서 연출팀으로 일하는 사람들은 감독으로 데뷔하고 싶은 꿈이 있는 것 같다. 프로젝트 사이에 자신의 시나리오를 쓰고, 대부분 그런 식으로 데뷔한다. 그래서 봉준호 감독님 차기작 연출팀과 다른 프로젝트 사이에 감독으로서 연출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써봐야겠다는 생각으로 쓴 것이 '잠'이었다. 제작사와 투자사가 잘 봐주셔서 제작하게 됐다"라고 이야기했다.
유재선 감독은 시나리오를 썼을 당시의 여자친구 지금의 아내와의 상황에 초점을 두고 만들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시나리오를 썼을 당시에 현재 아내가 된 여자친구와 결혼을 앞두고 있었다. 알게 모르게 그 이야기가 많이 녹아든 것 같다. 시나리오를 마무리한 시점을 되돌아봤을 때, 이런 테마들에 대한 호기심이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부부에게 문제가 닥쳤을 때, 어떻게 문제를 극복해야 하는지가 큰 화두였던 것 같다"라고 말했다.
유재선 감독은 극 중에서 신혼부부 수진과 현수로 열연을 펼친 정유미와 이선균 배우에게 존경심을 드러냈다. 그는 정유미 배우를 언급하며 "캐릭터 연구를 많이 하시고, 매 신마다 연기 계획을 치밀하게 가진 것 같다. 디렉팅을 완벽하게 따랐다는 것은 본인의 해석과 나의 해석이 다르다는 것을 이해하시고 융통성 있게 연기하신 것 같다"라고 이야기했다.

유 감독은 시나리오를 썼을 당시에 봉준호 감독에게 보여드리며 조언을 구하기도 했다고. 그는 "봉준호 감독님을 뵀을 때, 시나리오를 썼다고 말씀을 드렸다. 보통 연출팀과 감독의 사이가 그런 것 같다. 도제 시스템처럼 되어있어서 연출에 대한 많은 것을 배우고 언젠가 본인의 영화를 만드는 구조다. 시나리오를 읽으신 감독님이 '너는 이걸 해야겠다. 이건 당장 만들어도 손색이 없으니 이걸로 데뷔하면 좋겠다'라는 말을 듣고 확신을 가지게 됐다"라며 감사한 마음을 드러냈다.
정유미, 이선균 배우가 1순위 캐스팅이었다는 유재선 감독은 "제작사 대표님이 불가능한 캐스팅이라도 '뜬구름 잡는 1순위가 누구냐'라는 물음에 정유미 배우님과 이선균 배우님을 말했다"라며 애정을 드러냈다. 이선균 배우에 관해선 "종종 본인이 해석한 '현수'에 대한 캐릭터가 시나리오에서 이탈하시긴 한다. 두 배우와 함께 작업할 수 있어서 좋았고, 영화를 살렸다는 생각이 들었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이선균 배우 같은 경우는 연구를 많이 해오시는 편이다. 시나리오 공부를 많이 하시고, 매일 아침 콘티북을 보면서 '현수라는 캐릭터는 이렇게 하지 않았을까'라는 이야기를 많이 논했다. '현수'는 어느 순간 이선균 배우가 더 파악을 많이 하신 것 같다. 굉장히 감사했다. 정유미 배우 같은 경우는 본인도 수진의 캐릭터를 잘 파악하지만, 디렉션을 100퍼센트 의지하셨다는 말처럼 내가 해석한 '수진'에 대해서 많이 열려 있었다"라고 이야기했다.
'잠'은 몽유병이라는 소재를 토대로 신혼부부의 불안을 그려낸 작품. 소재로 몽유병을 택한 이유에 관해 묻자 "어디선가 들어본 호러 영화의 소재 같지만, 흥미로운 것 같다. 몽유병 환자의 극단적인 괴담을 한 번씩은 들어보지 않았나. 시간이 흐르면서 몽유병 환자의 일상은 어떤 모습인가를 생각했던 것 같다. 그 사람 가족의 일상은 어떤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보통 이런 장르 영화 같은 경우, 주인공이 공포의 대상으로부터 도망가거나 멀어지는 것이 장르의 구조다. '잠'과 같은 경우는 본인을 위협하는 대상이 본인이 사랑하고 지켜주고 싶은 사람이라서 자의적으로 공포를 돌파해야 한다는 점이 흥미로웠다"라고 이야기했다.

영화 속에서 부부의 단합은 주요한 키워드로 등장한다. '둘이 함께라면 극복 못할 문제는 없다'라는 현판이 지속해서 등장하고 수진은 현수에게 이 문장을 강조하기도 한다. 유재선 감독은 "어쩌면 강요처럼 느낄 수도 있다. 하지만 시나리오를 쓸 당시에는 나의 상황을 많이 대입했다. 나의 아내가 주인공인 '수진'의 결혼관이 비슷했다. 아내와 나의 관계도 현수와 수진을 닮아있었다. 무직이었고 장래가 밝지는 않았다. 지금이 밝다는 것은 아니지만(웃음) 아내는 경제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커리어가 쌓이고 있었다. 의문이 들 때마다 아내는 '그런 문제는 함께 극복하는 거야'라는 말을 많이 했다"라며 비하인드를 밝혔다.

기자간담회를 통해 '잠'의 결말 부분의 해석은 관객들에게 맡긴다는 말처럼 유재선 감독은 관객들에게 해석의 여지를 주고 싶다고 언급했다. 그는 "결말뿐만 아니라 아웃라인 계획을 세웠을 당시에도 생각했던 부분이다.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님께서 '기승전결까지 아웃라인을 꼼꼼하게 채워도 중간에서 이탈한다'는 말이 공감되더라. 3장이 어떤 내용일지에 대한 윤곽이 드러나고 확신이 든 것 같다. 결말 같은 경우는 해석에 확신이 있지만, 해석의 여지는 관객에게 있고 그들의 소유인 것 같다. 각자의 해석이 전부 다 타당하다는 입장이다. 그들의 해석에 문을 닫고 싶지는 않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차기작에 대한 부담보다는 잠재성과 가능성이 더 중요한 것 같다. 그 전제는 차기작을 만들 수 있다는 것 아닌가. 만들수만 있다면 그것 자체로도 복일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영화 '잠'은 오는 9월 6일 개봉한다.
이하늘 텐아시아 기자 greenworld@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