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첫 방송된 tvN ‘알아두면 쓸데 없는 지구별 잡학사전’ (이하 ‘알쓸별잡’)에는 뉴욕으로 간 MC 장항준, 김민하와 영화 평론가 이동진, 건축가 유현준 교수, 심채경 천문학자, 김상욱 물리학과 교수의 모습이 그려졌다.
잡학박사들은 뉴욕에서 모두 모였다. 영화감독 장항준은 “갑자기 세계적인 거물급 감독님께서 미국에서 보고 싶다고 하셨다”라고 언급했다. 영화 ‘메멘토’, ‘인셉션’, ‘인터스텔라’, ‘덩케르크’, ‘테넷’ 등을 연출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신작 ‘오펜하이머’ 프로모션 중 한국 팬들의 사랑에 보답하고자 출연을 결심했다고 전했다.
맨해튼으로 이동하던 제작진은 크리스토퍼 놀란의 ‘인터스텔라’에서 공개됐던 책장 장면을 언급했다. 이를 듣던 물리학자 김상욱 교수는 “그게 진짜 말이 안 된다. 블랙홀 안에 들어가서 하는 거지 않나. 블랙홀 안에 들어가면 끝이다. 더 이상 아무 얘기도 할 수 없다. 사실 과학적으로 문제가 없는 영화는 없다”라고 설명했다.

배우 김민하는 미국의 수도가 뉴욕이 아닌데 큰 상징성을 가진 이유에 관해 물었다. 건축가 유현준 교수는 "UN 본부가 여기 있지 않냐. 또 2차 세계대전이라는 20세기 커다란 사건의 승자 아니냐. 그 본부가 맨해튼에 있다. 그래서 상징성이 있는 거 같고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이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랫동안 제일 높은 빌딩이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장항준은 대도시인 뉴욕의 한복판에 큰 공원이 있는 이유에 대해서도 물었다. 유현준 교수는 센트럴파크에 대해 언급하며 처음에는 센트럴파크를 안 만들려고 했다. 원래는 필지를 쪼개서 다 팔려고 했는데 누가 유명한 이야기를 한다. ‘이거 안 만들면 이 정도 면적의 정신병원이 필요할 거다’라고 했다”라고 말하며 센트럴파크에 관한 일화를 언급했다.
그러나 뉴욕은 너무 많은 초고층 건물 탓에 가라앉고 있다고. 유현준 교수는 "건물을 짓기 전에 검사했지만 이 정도 높이의 이 정도 건물들이 이렇게 지어질 건 예상 못했던 거 같다. 최근에 그 뉴스들이 나왔다. 그런데 여기는 워낙에 돈이 많이 들어간 곳이어서 대책을 세울 거다”라고 이야기했다.




이하늘 텐아시아 기자 greenworld@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