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메디컬탑팀’ 8회 방송화면 캡쳐
MBC ‘메디컬 탑팀’ 8회 2013년 10월 31일 목요일 오후 10시 30분 다섯 줄 요약성우(민호)의 고교 후배인 나연이 사고로 복부와 흉부에 철근이 박힌 채 응급실로 오고, 태신(권상우)과 주영(정려원)은 수술 집도에 들어간다. 같은 시간, 광혜그룹의 자금운용본부장이 교통사고로 실려오고, 승재(주지훈)는 아버지의 지시로 태신에게 나연의 수술을 대신해 본부장의 수술을 할 것을 권한다. 하지만 태신은 더욱 응급한 상황의 나연을 수술하겠다고 하고, 결국 주영이 장용섭(안내상) 과장의 수술을 돕는다. 두 사람은 무사히 깨어나지만, 본부장은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기억 장애를 겪는다.
리뷰
여전히 사내 정치와, 의료의 휴머니즘, 그리고 각 개인이 가진 사연이 삐걱거리며 부딪혔다. 익숙한 환경의 이야기인 만큼 새로운 것, 혹은 기존에 보여줬던 것들을 종합선물세트처럼 모두 담아야 한다는 압박감에 빠졌기 때문인지 ‘메디컬 탑팀’은 여전히 자신의 정체성을 찾지 못한 채 이것 저것 해 볼 수 있는 것은 다 해보는 뒤늦은 실험에 나섰다.
ADVERTISEMENT
애초에 ‘탑팀’의 목적은 불분명했다. ‘협진팀’이 만들어져야만 하는 목적은 있었지만, 이를 보는 사람들이 납득할 만한 설득력이 없었다는 것이다. 처음부터 ‘탑팀’이 가진 설득력이 빈약했던 만큼, ‘탑팀’은 스스로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가야 할 동력을 잃었다. 정치적인 목적이 시작이었다면 한승재(주지훈)와 신혜수(김영애)는 ‘탑팀’의 주축이 되어 정치적인 동력을 충분히 제공해줘야 했다. 그리고 ‘최고의 협진팀’으로서의 설득력 또한 태신과 주영 위주의 비중과 환자의 케이스가 다소 애매한 방향을 띄며 방향을 잃었다. 전문적인 부분을 몰라도 언뜻 외과에서 해결 가능한 영역이 굳이 ‘탑팀’으로 가야 하는 이유는 ‘납득되지 않는 정치적 까닭’일 뿐이다.
이처럼 ‘탑팀’이 스스로 존재의 이유와 갈등의 동력을 제대로 얻어가지 못하면서 ‘탑팀’은 병원 내에서 애물단지가 된 상황만큼이나 애매한 위치에 섰다. 애초에 원했던 방향이 무엇이든 그것을 잃은 것은 분명해 보이고, 이제와 뒤늦게 의학 드라마에서 해 볼 수 있는 내용을 모두 끌어모아 시도해 보며 ‘가능한 영역’을 애써 실험 중이다. 하지만 여전히 그 실험 조차도 제대로 매력을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 캐릭터의 개인적인 영역도, 사내의 유치한 정치적 영역도, 의료의 제대로 된 휴머니즘의 영역도 ‘메디컬 탑팀’은 무엇 하나 제대로 잡지 못하고 있다.
ADVERTISEMENT
‘메디컬 탑팀’ 이전 등장한 ‘굿 닥터’는 적어도 ‘무엇’에 대한 이야기인지는 명확한 답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탑팀’은 ‘탑팀’이라는 소재만 있었을 뿐, ‘무엇’에 대한 이야기인지에 대한 실체가 없었다. 지금 ‘탑팀’이 실패를 할 수 밖에 없게 된 건, 결국 ‘무엇’에 대한 방향을 잃었기 때문이다. 보는 사람들에게 ‘최고의 협진팀’은 아무런 의미도 소용도 없다. 중요한 건 이 ‘협진팀’이 무엇을 해 낼 수 있냐는 것이다.
오늘도 ‘탑팀’은 열심히 수술을 한다. 그러나 ‘탑팀’의 수술 성공과는 별개로 여전히 ‘메디컬 탑팀’은 어려운 실험 속에서 안개 속을 헤매고 있다. 최고가 끝은 아니다. 결국 우리가 궁금한 건 이 ‘최고의 의사’들이 과연 ‘어떠한 것’을 해 낼 수 있느냐다.
ADVERTISEMENT
- 오늘도 역시 최인혁 교수님을 콜 해야 할 것 같은 기분…
- 회장의 총애를 받는 대기업 본부장이 운전을 직접… 하나요?
글. 민경진(TV 리뷰어)
사진제공. MBC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