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블스 플랜2' 정종연 PD. / 사진제공=넷플릭스
'데블스 플랜2' 정종연 PD. / 사진제공=넷플릭스
'데블스 플랜: 데스룸'('이하 '데블스 플랜2') 정종연 PD가 생활동 서사가 부족했다고 자평했다.

최근 서울 안국동의 한 카페에서 넷플릭스 예능 '데블스 플랜2'를 연출한 정종연 PD를 만났다.

'데블스 플랜2'는 14명의 참가자들이 6박 7일 동안 제한된 공간에서 게임을 통해 최고의 플레이어를 가리는 두뇌 서바이벌 프로그램. 지난달 최종회가 공개됐다.

'데블스 플랜2'는 납득하기 어려운 정치 구도, 막말 논란, 감정에 호소하는 플레이 등 두뇌 서바이벌 취지에 어긋나는 용두사미 전개로 시청자들에게 혹평을 받았다.

정 PD는 "시즌2가 되면서 큰 변화는 감옥동이 생겼다는 것이다. 처음 생각했던 건 2개의 큰 집단 간 대결이었다"라고 밝혔다. 이어 "감옥매치 시스템이 생기면서 더 치열해지는 서사가 발생했다. 하지만 생활동에서는 거기에 상응하는 서바이벌다운 서사가 생기기 어려운 구조였던 것 같다. 거기에 감옥동이 생활동 전체를 뒤집을 만한 요소가 부족했다는 얘기도 있는데, 저도 인정하는 부분이 있다. 시청자들에게 많은 이야기를 듣고 있고, 많은 공부가 됐다"라고 돌아봤다. 또한 "감옥에서는 탈락을 두고 하는 감옥매치가 있어서 처절한 면이 있다. 언더독들의 모임이라 감옥동 서사가 잘 표현될 수 있는 구조로 제가 세팅한 거다. 생활동은 승리 집단이다 보니 분위기 자체가 좋을 수밖에 없지 않나 싶다. 그래도 압박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었으면 좋지 않았나 반추해본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정 PD는 "메인매치의 경우 소수 연합이나 피스가 적은 플레이어가 특별히 불리한 게임은 아니다"라고 자평했다. 이어 "오픈된 게임에서 다수가 모이는 게 보통은 유리하다. 제가 그간 설계해온 메인매치의 특성도 그러하다. 하지만 이번에 기획했던 메인매치는 여러 사람이 모인다고 힘 싸움으로 이길 수 있는 게임은 아니었다. 숫자가 적은 사람도 최소한 아이디어로 이길 수 있는 게임으로 설계했다고 자부한다"고 설명했다. 한편으로는 "생활동 히든 스테이지 보상이 과했다거나, 감옥매치에서 잘한 친구들에게 더 좋은 보상을 줬으면 어땠겠냐는 얘기를 들었고, 저도 동의하는 부분도 있다"고 시청자 평가를 받아들였다.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bella@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