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이재규 감독 인터뷰
이재규 감독 인터뷰

이재규 감독은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위치한 한 카페에서 텐아시아와 만나 넷플릭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줬다.
지난 3일 공개된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는 정신건강의학과 근무를 처음 하게 된 간호사 다은(박보영 역)이 정신병동 안에서 만나는 세상과 마음 시린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 실제 간호사 출신인 이라하 작가의 동명 웹툰을 원작으로 한다.

이날 이재규 감독은 "간호사가 두 명이 나온다. 우리 이야기의 주인공인 두 간호사를 대비시켜 (시청자가) 보게 했으면 했다. 정다은은 타인을 너무 배려하고 환자한테 좋은데, 일할 때는 칭찬을 받지 못한다. 민들레(이이담 역)는 FM이지 않나. 차기 수쌤이라는 이야기도 듣는다. 많은 사람한테 인정받지만, 이 일을 정말 하고 싶은지 두 사람을 대비시켜 어떻게 사는지 정답은 없지만, 그렇게 생각해 볼 수 있게 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들레 쌤은 간호사 왜 해?'라고 다은이 이야기하는 순간, 결국 들레는 진짜로 원했던 일 그리고 자기를 설레게 한 일을 찾아간다. 자신이 하고 싶었던 일을 하려고 하는 다은과 대비시켰다. 남녀의 사랑이 이뤄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신의 꿈을 찾아가는 여성도 멋있을 것 같아서 그런 엔딩을 만들었다"라고 덧붙였다.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에서 박보영, 연우진, 장동윤이 삼각 러브 라인을 이룬다. 이재규 감독은 "살면서 인물 관계가 남녀 관계는 삶의 일부이지 않나. 이걸 다 배제하면 재미가 없을 것 같았다. 항상 나오는 이야기이지만, 의학 드라마이자 생활 드라마, 힐링 휴먼 드라마인데 너무 멜로로 가면 안 될 것 같아서 적정한 선을 찾으려고 했다. 우리가 살면서 느낄 수 있는 선을 찾으려고 했다. 삼각관계에서도 소중한 사람, 나한테 위안이 되는 사람 그런 분위기를 넣으려고 했다. 삼각관계를 치열하게 가려고 하지 않았다. 그래야 보는 재미가 있을 것 같았다"라고 설명했다.

장률, 이이담이 또 다른 러브 라인을 형성했다. 이와 관련해 이재규 감독은 "같은 이야다. 남남 관계도 있지만, 남녀 관계는 많은 삶의 부분을 차지한다. 그런 것들이 보는 재미가 있다. 민들레, 황여환의 멜로이기도 하지만 각자 안고 있는 어려움이 있다. 올드하지만 계급의 문제도 있다. 옛날에는 그런데도 서로 사랑하고 필요한 존재였다. 우리 작품에서는 자신의 꿈을 찾아 떠나고, 그걸 인정해주는 남자로 그려졌다"라고 설명했다.
이재규 감독이 제일 좋아하는 신은 3부 엔딩이라고. 그는 "3부 엔딩에서 유찬(장동윤 역)이 다은에게 어렵게 공황장애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나. 다은이 그래서 뭐 어쩌라고 하긴 하지만, 그 사랑이나 관계성이 좋았다"라고 전했다.
강민경 텐아시아 기자 kkk39@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