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스콜세이지가 집요하게 묻는 것은?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우리가 놓친 것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우리가 놓친 것들

마틴 스콜세이지는 미국의 그늘진 시대상을 보다 날카로운 시각으로 스크린 위에 선명하게 드러내는 감독이다. 이탈리아계 미국인인 감독은 내부로 파고들기보다는 경계선 바깥에서 거시적으로 포착한다. '비열한 거리'(1973), '택시 드라이버'(1976), '성난 황소'(1980), '좋은 친구들'(1990), '갱스 오브 뉴욕'(2002), '디파티드'(2006), '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2013), '아이리시맨'(2019) 등 그의 대표작을 나열하기 벅찰 정도다.
마틴 스콜세이지 감독의 얼굴이 되는 두 배우가 있다. 마틴 스콜세이지가 걸어온 길을 동행하는, 소위 페르소나(persona)라는 수식이 따라붙는 배우. 로버트 드 니로와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다. 반항기 가득한 눈빛으로 "You talking to me?"라고 거울 속 자신에게 되묻는 '택시 드라이버'의 트래비스 버클(로버트 드 니로)와 조각난 단서 너머에 불투명한 진실을 응시하는 '셔터 아일랜드'의 테디 다니엘스(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의 혼돈에 휩싸인 표정까지. 두 배우는 마틴 스콜세이지 영화에서 인생 연기를 선보였다.

'플라워 킬링 문'에서 어니스트의 첫 등장은 북적거리는 기차 칸에 앉아 권태로운 얼굴로 차창 밖을 미동 없이 바라보는 모습이다. '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라는 문구를 들고 바삐 움직이는 사람들 틈에서 어니스트는 이방인과 다름없다. 비혈연 관계인 삼촌 윌리엄 킹 헤일(로버트 드 니로)의 농지에 방문한 어니스트는 마을의 '부유함'이 시작된 사연을 듣게 된다.

원인 모를 인디언들의 연속적인 죽음은 '플라워 킬링 문'의 서사 안에 반복적으로 틈입한다. 특히 택시 운전수로 일하는 어니스트는 단골 오세이지족 여성 몰리(릴리 글래드스톤) 고상하면서도 똑 부러지는 모습에 눈길이 쏠린다. 몰리의 재산을 상속받기 위해서 접근해보라는 킹 헤일의 제안이 있었다지만, 몰리를 향한 어니스트의 눈빛은 누구보다 호기심으로 반짝인다. 두 사람의 달콤한 만남은 이내 검은 속내를 지닌 킹 헤일이 옥죄어오는 속도로 인해 빠르게 형태를 바꾼다.

어니스트와 몰리는 같은 집에서 일상을 공유하지만, 그 너머에는 범인과 피해자라는 불편한 사실이 공존한다. 자신의 가족들을 죽인 범인을 색출하기 위해서 사설탐정을 고용한 몰리를 앞에서는 응원하지만, 뒤에서는 방해하는 어니스트의 모습은 그야말로 동상이몽이다. "천천히 닳아 없어지는" 몰리의 속절없이 흘러가는 시간 앞에서 어니스트는 무엇이 중요한지 전혀 판단하지 못한다.

마틴 스콜세이지는 '플라워 킬링 문'에서 가족, 종족, 집단이 지닌 검붉은 풍경을 보여준다. 아내 몰리가 가족들의 죽음 앞에서 목놓아 절규하는 모습이 여러차례 등장하지만, 어니스트는 순간의 죄책감만 스칠 뿐 죽음을 체감하지 못한다. 어니스트에게 몰리 가족의 죽음은 돈을 차지하기 위한 거추장스러운 단계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제목에서 언급한 '플라워 킬링 문'(Flower killing moon)은 인디언 부족들이 5월을 꽃을 죽이는 달이라고 부르기 때문이라는 이야기에서 비롯됐다. 초반부 "달면 달수록 좋지 않아요. 난 달면 아파요"라는 몰리의 대사처럼, 어니스트는 돈이라는 달콤한 욕망을 좇다가 가장 중요한 가치를 무너뜨리고 말았다. 딸 애나의 죽음 전까지 자각하지 못했던 어니스트. 어쩌면 우리 역시 가장 중요한 것을 잊은 것은 아닌지 되물어볼 시점이다.
영화 '플라워 킬링 문' 10월 19일 개봉. 러닝타임 206분. 관람등급 청소년 관람 불가.
이하늘 텐아시아 기자 greenworld@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