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영화 '발레리나' 전종서 인터뷰

유독 장르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몸을 사리지 않는 액션부터 감정의 극단에 서는 캐릭터를 과감하게 보여주기도 한다. 전종서는 본래의 내성적인 성격과는 다르게 연기를 할 때는 전혀 다른 얼굴을 보여주는 듯하다. '발레리나'에서 친구의 죽음으로 복수를 나선 옥주의 피비린내 나는 여정에 몰입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배우 전종서는 아직도 물음표가 많은 배우다. 그러나 베일을 조금씩 벗어 던지며 자신의 연기로 느낌표를 만들어가는 전종서의 내일은 어떨지 궁금해진다.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발레리나'가 상영되며 관객들과 만났던 소감에 관해 전종서는 "부산에서 큰 스크린으로 본 것은 처음이었다. 집에서 모니터링했던 것이라는 다른 느낌이 있더라. 음악도 다르게 들렸다"라고 이야기했다. 이어 '발레리나'에 어떤 매력을 느끼고 출연을 결정했는지 묻자 "지켜야 할 대상이 명확하게 있고, 형태가 복수는 아니더라도 지켜내야 하는 장르를 해보고 싶다는 바람이 배우로서 항상 있었다. 그동안 장르를 많이 해왔다"라고 답했다.
'발레리나'는 공개 연애 중인 이충현 감독과 호흡을 맞춘 작품. 아무리 커플이라도 같이 작업을 한다는 것은 어려운 점도 있었을 터. 전종서는 "이충현 감독님은 영화에서 연기로서 해보고 싶은 것을 실현할 수 있을 법한 작품에 관심이 많으시다. 여성 서사에도 욕심과 관심이 있다. 이충현 감독님 영화를 여배우로서 출연한다는 것이 장르적인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이야기했다.
제작보고회에서 "스태프들이 우려하는 부분이 없이 조심히 촬영했다"는 이충현 감독의 말처럼 '발레리나' 촬영 현장에 대해 전종서는 "우려하시는 부분들이 스태프가 있다는 것을 나중에 들었다. 그런 부분에 대해서 초반에는 생각하지 않았다. 이유는 영화만 딱 찍었다. 감독님과 사전에 이야기를 많이 해서 현장에서 감독님과 대화를 안 해도 될 정도였다. '발레리나'도 다른 영화랑 크게 다를 것이 없었다. 스태프가 다 또래였고, 젊은 에너지가 컸다"라고 답변했다.

영화 '발레리나'는 최근 연예계에서 큰 화두가 됐던 '버닝썬' 사건을 떠올리게 하는 몇몇 지점들이 있다. 스너프 필름, 성관계 동영상 등의 범죄나 사회적 문제는 주인공인 '옥주'를 둘러싸고 있는 지점 중에 하나다. 전종서는 "사회적으로 논란이 됐던 일들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분노도 있다. 현실적으로 처벌이 될 수 없는 것을 영화상에서 통쾌하게 풀어보고 싶다는 것도 있었다. 하지만 시나리오 선택의 주된 이유는 아니었다"라고 답했다.
기존의 복수극과 '발레리나'의 다른 지점은 처참한 일을 겪는 친구를 위해서 앞뒤 돌아보지 않고 불도저처럼 달려간다는 점. 전종서는 "어떤 특정 사건에 대해서 빠져있다기보다는 가장 친한 친구가 처참한 일을 겪었다는 것에서 오는 개인적인 감정에 대한 공감에 많이 연기를 가져간 것 같다. 복수를 왜 하는지, 액션보다는 감정이나 감성을 보여주려고 했던 것 같다. '민희'랑 회상하면서 주고받는 것이 끝까지 보여지도록 노력했다"라고 말했다.

전종서의 맨몸 액션부터, 총, 칼 등의 다양한 액션까지. '발레리나'는 전종서의 피, 땀, 눈물이 들어가 있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다. 가장 어려웠던 액션이 무엇이었냐는 질문에 "다수의 남성과 1대 1인데, 몸집이 두 배는 큰 사람과 싸워야 하는 시퀀스의 연속이었다. 연습만 해서는 커버가 안 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했다. 몸을 다 던지기 때문에 마음이 찢어지게 느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유연하고 빠르고 민첩한 눈빛으로 액션을 풍요롭게 만들려고 했었다. 안무같이 합을 맞춘다면 몸에 전체적인 그림에 맞게끔 계속 바뀌었던 것 같다"라고 강조했다.
용서받지 못할 악행을 저지르는 김지훈과의 맨몸 액션에 관해서 "김지훈 선배와는 맨몸 싸움을 하게 됐다. 옷을 벗고 싸우는 느낌이 진흙탕에서 무방비 상태로 싸우는 것 같은 느낌을 비주얼적으로 주고 싶었다. 보호장치를 할 수 없어서 조심하면서 했는데, 좋은 상대가 아니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은 든다. 신체적인 한계가 있으니까. 120퍼센트 못 하셨느냐는 생각에 미안한 부분도 있다"라며 촬영 비하인드를 밝혔다.
꾸준히 운동하면서 몸을 만들어간다는 전종서는 "내 몸이 마른 것이 싫었다. 언제부턴가 엄청 많이 먹기 시작했다. 살집이 있고 동글동글한 건강한 몸이 예쁘다고 생각했다. '발레리나'를 찍으면서 근육을 만들어야 할 것 같다고 생각했다. 몸 관리를 그때부터 다시 하기 시작했던 것 같다. 1년 반 정도 습관처럼 되는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대중들과 인스타그램을 통해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를 올리고 답변을 해주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전종서. 이에 "노력하는 거다. 사진도 셀카를 찍는 것을 별로 안 좋아한다. 거의 노메이컵에 잘 나가지 않고 현장에 있다 보니 작정해야 하지 않나. 그래서 무물이라는 것을 하기 시작했다"라고 밝혔다. 이러한 변화가 생긴 지점에 대해 전종서는 "장윤주 선배와 이야기를 많이 했고, 가장 많은 영향을 끼쳤다. 언니의 결론은 '성격상 그럴 수 있겠냐'인데, 그런 게 필요해 보인다는 조언을 해줬다. 갑자기 데뷔하기도 했고, 뽐내고 나를 나타내는 것에 있어서 연기로는 부끄러운 점이 있다"라고 답했다.

'버닝'으로 데뷔했을 당시, 전종서는 갑작스러운 관심에 떨리는 말투로 제대로 된 답변을 하지 못했던바. 지금은 조금 편안해졌다는 전종서는 "최근까지도 배우로서 연기로만 말을 하는 것만 있었던 것 같다. 때문에 대중과 소통의 부재가 있었다고 느꼈다. 대중이 있어야 내가 존재할 수 있는 것인 것 같다. 나의 재미나 욕심에 의해서 선택하는 것도 중요한데, 대중들의 취향이나 그분들이 보고 싶어 하는 모습에 대해서 들여다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어떤 모습으로 보여 드릴지 고민이 된다"라고 털어놨다.
이하늘 텐아시아 기자 greenworld@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