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아는 그 자체가 이미 거대한 텍스트가 돼 버렸다. 누군가는 김연아에게 피겨스케이팅의 이상을 발견하기도 하고, 누군가는 김연아에 대한 열광의 실체를 분석하기도 한다. 어떻게 한 소녀의 피겨스케이팅이 한 나라 단위의 팬덤을 만들어낼 수 있었을까. 그것을 제대로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ㄱ부터 ㅎ까지 이어지는 이 작은 단어장도 마찬가지다. 김연아의 팬이라면 이 정도 사실을 모르는 사람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김연아가 만들어낸 수많은 열광의 기록들이 남은 작은 조각들을 모으다 보면 김연아가 우리에게 보여준 것, 그리고 우리가 김연아에게 주고 있는 것들에 대해 짐작할 수 있지 않을까.국민코치 : 브라이언 오서 코치의 별명. 김연아가 브라이언 오서의 지도를 받으면서 세계 정상의 선수가 됐을 뿐만 아니라 김연아와 함께 희노애락을 함께하는 모습으로 한국 피겨 팬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 김연아의 기술적인 면은 물론, 음악을 좋아한다는 공통점을 통해 김연아의 풍부한 감정 연기를 끌어냈다. 그리고 피겨스케이팅과는 관계없는 이야기겠지만 커밍아웃한 게이여서 김연아의 많은 팬들에게 안심 아닌 안심을 주고 있다.
나이키 : 김연아가 CF에 출연 중인 스포츠 의류 업체. 김연아가 출연한 대부분의 CF는 김연아의 금메달을 기원하거나 국민에게 기쁨을 줄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반면 나이키는 인생에서 가장 큰 도전에 선 김연아가 혼자 짊어져야 하는 고독과 승부에 초점을 맞췄다. 물론 스포츠 의류업체의 특성 때문에 가능한 CF이기도 했겠지만, 대중이 원하는 김연아가 아닌 김연아 개인의 심리에 초점을 맞춘 것은 나이키 CF가 유일했다. 김연아의 피겨스케이팅을 즐기면서도 그에게 부담감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어떤 방법.
데이빗 윌슨 : 김연아의 안무가. 예술적 표현력을 중시하는 그의 안무는 피겨스케이팅을 “피겨는 기록경기가 아니다. 자신의 프로그램을 얼마나 잘 소화하는 능력이 있느냐를 따지는 경기다. 기록보다는 경기에 집중하고 싶다”고 말하는 김연아에게 가장 어울리는 것이었다. 이번 밴쿠버 올림픽에서 여성미를 극대화 시킨 ‘본드걸’과 거쉰의 곡에서 보여준 김연아의 우아한 동작들은 데이빗 윌슨이 보여준 안무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을 듯.
록산느 : 2006~2007 시즌 김연아가 선보인 쇼트 프로그램 안무에 사용된 곡. 이 때 시니어 무대에 진출한 김연아는 ‘록산느’를 통해 보다 여성적인 아름다움을 강조하며 한층 업그레이드된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김연아는 ‘록산느’를 기점으로 국내에서 확실한 스타로 자리 잡기 시작한다.
만약에 : 김연아가 SBS 에서 부른 노래. 김연아는 ‘만약에’, ‘들리나요’ 등을 매끄럽게 부르며 엔터테이너적인 면모를 과시했고, 이는 그의 상품성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됐다. 여린 몸의 피겨스케이터들이 힘차게 뛰어오르는 여자 피겨스케이팅은 소녀가 있는 힘을 다해 절실하게 불러야 어울릴 것 같은 ‘만약에’와 어울린다. 그리고 김연아는 유명세를 타기 전 여러 아이돌 가수들의 노래를 부르길 좋아했는데, 지금은 그 자신이 한국에서 전무후무한 아이돌이 됐다.
글. 강명석 two@10asia.co.kr
편집. 이지혜 seven@10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최희진, 흑백 카리스마...귀엽게[TEN포토+]](https://img.tenasia.co.kr/photo/202511/BF.42311613.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