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은 2000년대의 첫 10년의 마지막 해다. 그리고, 마치 이 기념비적인 해를 기념하듯 올 한해는 마치 태풍이 몰아치듯 수많은 사건이 벌어졌고, 그만큼이나 빠르게 트렌드가 변화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등장하고 사라졌다. 의 는 마치 세찬 풍랑을 뚫고 나가듯 혼란스러웠던 한 해를 헤쳐 나갔던 드라마에 대한 기록이다. 누군가는 ‘막장 드라마’를, 누군가는 엄청난 제작비의 대작을 만드는 사이 한국의 드라마 산업은 어떻게 변화했고, 그 과정에서 어떤 작품들을 만들었는가. 의 기자와 평론가들이 진단했다. 그리고, 올 한해를 대표하는 10명의 인물과 10개의 이슈, 누구나 알고 있지만 쉽게 드러나지는 않았던 올해의 어떤 것들도 함께 정리했다.두 여자의 대결, 복수, 해당 방송사 최고의 시청률. 누군가는 이 세 가지 조건에서 SBS 을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누군가는 MBC 을 생각할 수도 있다. 지난 16일 AGB닐슨 미디어리서치에서 발표한 연간 시청률 순위에서 1,2위를 차지한 두 작품은 2009년 한국 드라마 산업의 현재를 보여준다. 은 최소한의 윤리적, 논리적 판단을 배제한 채 극단적인 자극에 집중했다. 스토리는 최소한의 개연성마저 잃었고, 캐릭터는 인간이라기보다는 복수를 위해 달려가는 욕망 덩어리였다. 반면 은 화랑의 액션이나 비담(김남길)같은 꽃미남들이라는 상업적인 요소도 많았지만, 드라마를 끌고 간 동력은 시대에 대한 고민이었다. 덕만과 미실은 직접적으로 ‘시대정신’에 대해 논했고, 귀족과 백성들 사이에 놓인 정치가들의 선택을 보여주는 에피소드들은 이 시대의 정치현실을 은유했다. 시청자들은 비담의 활약에 환호하고, 미실과 덕만의 논쟁을 보며 시대의 올바른 선택을 이야기할 수 있었다. 그래서 이 극중에서 던진 질문은 지금 한국 드라마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대의’(大義)와 ‘이’(利)는 어떻게 부합될 수 있는가?”
좋은 드라마와 많이 본 드라마 사이의 거리


대중성과 이상을 조화시킬 창작자의 출현

덕만이 미실의 현실정치를 배워 현실을 이상에 보다 가깝게 끌고 갔듯, 우리에게 필요한 건 대중성과 자신의 이상을 동시에 담을 수 있는 재주꾼들일지도 모른다. 의 박지은 작가는 “재벌 2세와 아줌마와 불륜이라는 소재들을 모두 담으면서도 요즘 한국인의 인생을 바라볼 줄 아는 절묘한 무게중심”(강명석)과 “악역에게도 소명의 기회를 주는” (정석희) 따뜻함으로 “판타지와 리얼리티의 가장 평화로운 만남을 성사”(윤희성)시켰고, 로맨틱 코미디와 민주주의를 행복하게 결합한 SBS 의 김은숙 작가는 “‘바보와 진심’의 귀환”(김선영)을 통해 준수한 시청률과 의미 양쪽을 잡았다. 그리고 순정만화 원작의 KBS 가 결국 ‘청춘 막장 드라마’가 되는 사이 “자기 스타일의 순정만화를 완성”(최지은)시켜 “사랑스러운 아이들이 보여주는 가슴 설레는 판타지”(윤이나)를 완성한 SBS 의 홍미란-홍정은 작가는 드라마 작가가 할 수 있는 또 다른 선택일 것이다.
막장, 대작이 아니라도 드라마에 희망은 있다

지난해 KBS 에서 드라마 감독 지오(현빈)는 ‘좋은 드라마’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했다. 그리고 을 비롯한 ‘‘2009년 10 어워즈’’가 선택한 2009년의 드라마들은 ‘대의’와 ‘이’의 공존을 통해, 또는 ‘맨땅에 헤딩’하는 정신으로 드라마 현실에 부딪혀 의미 있는 파열음들을 냈다. 그것은 지금 ‘막장 드라마’나 엄청난 스케일의 대작 드라마가 아니면 최소한의 시청률조차 보장할 수 없는 현실에서 드라마를 만드는 사람들이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일지도 모른다. 당신의 선택은 무엇인가. ‘이’만을 추구하다 괴물이 될 것인가, ‘대의’를 쫓다 지쳐 쓰러질 것인가, 둘 다 가질 수 있는 노력을 한 것인가. 드라마를 만들고 보는 모든 사람들에게 선택의 시간이 오고 있다.
글. 강명석 two@10asia.co.kr
편집. 이지혜 seven@10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