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산타바바라’는 어디가 마음에 들어 출연했나.
여행과 와인을 좋아한다. 산타바바라와 와이너리를 꼭 가보고 싶었다. 마음껏 먹고, 마실 수 있을 것만 같았다. 여기에 사랑까지. 배우 윤진서는 영화 ‘산타바바라’에 출연하게 된 이유를 나열했다. “이걸 다 해주겠다는데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는 그녀의 말에 절로 고개가 끄덕였다. 극 중 수경이란 인물에 윤진서의 모습이 슬쩍슬쩍 엿보이는 건 당연했다. 극 중 상황에 맞는 감정을 끌어낼 필요 없이 자신의 마음을 그대로 드러내면 되는 일이었다. 그 어떤 현장보다 즐기면서 할 수 있었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 한층 밝아졌다. 윤진서를 만나 최근 개봉된 영화 ‘산타바바라’의 기억을 하나씩 들춰냈다.
윤진서 : 딱 보니까 놀면서 찍을 수 있을 것 같았다. 먹고, 마시고, 사랑도 하고, 여행도 가고. 또 스포츠카를 타고 달릴 수도 있고. 산타바바라를 갈 수 있고. 이걸 다 해주겠다는데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 Q. 극 중 수경과 비슷한 면이 많다고 들었다.
윤진서 : 나를 보면서 각색한 면이 있다. 그래서 (비슷하다는 걸) 부정하진 않겠다. 일하는 것도 그렇지만, 여행이나 와인 좋아하는 것도 비슷하다. 극 중에서 수경이 스페인 여행 이야기를 하는데, 그것도 실제 내가 다녀온 장소 중심으로 일부 대사를 바꾼 거다. 또 와이너리는 가보고 싶었던 곳이다. 그래서 간단한 대사도 마음에서 우러나왔다. 굳이 감정을 잡고 할 필요가 없었다.
Q. 그럼 애초에 윤진서를 염두에 두고 시나리오를 썼다는 이야기인가.
윤진서 : 그건 아니다. 캐스팅 단계에서 와인을 맛있게 마시고, 영어를 잘하는 사람이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더라. 그랬더니 내가 떠오른 거다. 그러면서 디테일한 부분은 나에게 맞게 각색됐다. 근데 지문을 자세히 써놓지도 않았다. ‘스페인 가봤던 데 그냥 말하면 돼’라고 했을 정도다. 또 영어 대사도 한국어로 써 놓은 거다. 그래서 달시 파켓(한국에서 활동 중인 미국인 영화평론가로 ‘산타바바라’에 출연한다.)과 이야기하면서 현장에서 바꾸기도 했다.
ADVERTISEMENT
윤진서 : 광고 계통에서 일하는 친구는 많다. 그들을 통해 오가며 사내 연애가 많다는 걸 익히 들었다. 또 영화 속 사무실도 진짜 광고 회사다. 그분들한테 복장 등 구체적인 것들을 들었다. 물론 그걸 다 살리기엔 좀 부족했지만.
Q. 정우 역의 이상윤은 영화 주연이 처음이다. 아무래도 이 점이 로맨스 호흡을 맞추는 데 있어 걱정이나 부담이 됐을 것 같다.
윤진서 : 소위 영화판에 있는 사람들은 잘 모르더라도 친근함이 있다. 개인적으로 동질감이 생긴다고 할까. ‘올드보이’도 지금까지 잘 모이고, 조성규 감독님도 ‘이리’ 찍을 때부터 관계를 이어 왔으니까. 그래서 일하는 방식에 있어 그런 친근함의 형성이 잘 안 되는 배우면 어떡하지 걱정하긴 했다. 그런데 전혀 그런 사람이 아니었다. 설명하기 어렵지만, 영화 하기 참 좋은 성격이다. 이 말의 의미를 영화 하는 사람은 이해할 거다. 물론 드라마 시스템에 익숙해서 그런지, 다른 영화는 이거보다 더 느리게 찍는다고 했더니 신기해하더라.
Q. 방금 말한 것처럼, 아무래도 드라마를 계속 해왔던 배우라서 초반에는 약간의 부딪힘도 있지 않았을까 싶은데.
윤진서 : 산타바바라에서 촬영할 때였는데, 그날 대사가 너무 많은 날이었다. 그래서 좀 민감해져 있었다. 손발이 맞지 않았고, 미국 로케이션도 정확하지 않았던 상황이었다. 그러다 보니 연기에 지장이 있었다. 뭔가 불편함을 느꼈으면, 보완해 나가는 게 당연하다고 본다. 그런데 오빠는 ‘왜 그렇게 민감해하느냐’며 이해를 못 하는 거다. 처음 이 부분에 대해 생각이 달랐던 것 같다. 그 외엔 없었다.
ADVERTISEMENT
윤진서 : 사람 이상윤은 똑똑하더라. 의사 표현하는 걸 보면 알 수 있기도 한데, 의사 표현이 항상 정확하더라. 또 거절하는 걸 봐도 똑똑한 걸 알 수 있다. 술도 좋아한다. 그 의미인즉슨 사람하고 즐기는 것도 잘한다는 거다. 사람 이상윤은 부족함이 없어 보였다.
Q. 이상윤 씨를 인터뷰했을 때, 성향은 크게 다르다고 하더라.
윤진서 : 오빠보다 좀 더 즉흥적인 사람 같다. 나는 좀 분위기를 많이 타지만, 오빠는 그런 거에 흔들리는 것으로 보이진 않았다.
Q. 멜로, 로맨스 장르인데 조금 밋밋하지 않나. 사랑의 감정이 크게 전해지는 것도 아니고, 키스신도 거의 없다. 그 대신 아기자기하고, 풋풋한 맛이 있어서 미소 짓게 하는 매력은 있다.
윤진서 : 원래 시나리오에는 정우가 수경과 키스하다 손이 가슴 쪽으로 내려오는 게 있었다. 그런데 정우가 너무 선수 같아 보인다며 그냥 키스만 하는 걸로 수정됐다. 찍을 땐 다들 좋다는 반응이었다. 감독님은 신체적으로 표현하는 거 말고, 감정에 집중하고 싶었던 것 같다. 심지어 키스도 못 하게 했다.
ADVERTISEMENT
윤진서 : 이런 영화가 취향인 것 같다. 여자들 입장에서는 이런 영화 보기 좋아한다. 사실 연애라는 게 내가 하는 것 혹은 친구의 연애 이야기 말고,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간접 경험하는 게 전부다. 그렇게 생각했을 때 공감할 수 있는 이런 영화가 필요할 때가 있다.
Q. 실제 윤진서의 연애 스타일은 어떤가.
윤진서 : 취향이 없다. 안 그래도 힘든 연애, 취향까지 정해놓고 나누고 싶진 않다. 사랑하는 사람이 생기면, 감정을 숨기지는 못하는 것 같다.
Q, 산타바바라는 어떤 곳인가.
윤진서 : 미국에서도 살기 좋은 곳으로 꼽혔다. 스페인 건축양식의 영향을 받아서 미국의 유럽으로 불린다. 또 포도농장이 많다는 건 자연이 훌륭하다는 뜻이다. 분위기 자체가 풍요롭다. 부족함이 없다는 생각을 했는데 실제 부촌이라고 하더라. 여유로움과 평화로움이 티가 난다. 내가 아이가 있으면 이곳에서 키우고 싶을 정도다.
ADVERTISEMENT
윤진서 : 거리의 노숙자인데 50달러에 그림을 샀다. 재료를 사서 제대로 마무리하고 싶다고 2시간 있다 오라는 거다. 그 마음을 이해하기에 알겠다고 했다. 그런데 예상 시간보다 늦게 갔고, 그 사람은 없었다. 그림도 없었고. 감독님은 온종일 ‘사기 당했다’고 얼마나 놀리던지.
Q. 영화 촬영 후 산타바바라에 또 가본 적 있나.
윤진서 : 혼자 가고 싶지 않다. 혼자 가면 미친 듯이 외로울 도시다. 대신 연인이 있다면 꼭 가보고 싶다. 산타바바라를 가면 지금 내 말이 무슨 말인지 알 거다.
Q. 이번 영화는 앞서 말했듯 평소 좋아하는 걸 하면서 촬영했다. 다른 영화 현장과는 분명 다른 느낌이었겠다.
윤진서 : 놀면서 한다는 게 즐기면서 할 수 있었다는 의미다. 먹는 걸 누가 싫어하겠나. 또 산타바바라를 누가 마다하겠나. 와이너리도 마찬가지고. 각 장소에서 인물이 하는 행동에 굳이 감정을 잡거나, 이입하려 하지 않아도 마음이 거기에 있었다. 준비 없이 이렇게 찍을 수 있는 영화가 있나 싶었다. 배우들은 아무래도 ‘이 영화를 한다면’이란 가정으로 시나리오를 보게 된다. 편하게 찍을 수 있다는 말로는 조금 부족한데, 그냥 내가 돼서 즐기면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녀가 부른다’ 감독님을 ‘산타바바라’ 촬영 중에 만났는데 “왜 이렇게 밝아졌느냐”고 하시더라. ‘그녀를 부른다’ 이후 연기하는 게 편해졌다고 할까. 집중하는 거 자체에 대한 여유가 생긴 것 같다. 사람이 집중하게 되면, 오히려 긴장해서 나도 모르게 버릇이 나올 수 있다. ‘그녀는 부른다’ 이후 집중을 하되 자유롭게 연기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산타바바라’를 보는 분들이 ‘저 사람 정말 수경 같다’고 느꼈으면 하는 욕심은 당연히 있었다.
ADVERTISEMENT
윤진서 : 자유로워진다고 해야 할까. 집중도도 높아진 것 같다. 지금까지 영화를 해 오면서 너무 힘들었던 영화도 있었고, 포기하고 싶었던 영화도 있었다. 확신 없이 찍었던 것도 있고. 그런 과정을 거쳤기 때문인 것 같다. 그러면서 나도 모르는 모습이 튀어나오는데, 관객 입장에서 내 영화를 봤을 때 재밌더라.
Q. 본명인 수경으로 불리는 것도 어떤 면에선 큰 의미겠다.
윤진서 :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은 처음부터 나를 놓고 쓰셔서 이름을 수경이라 했고, ‘이리’는 아예 진서다. 주로 캐스팅되는 영화들이 ‘내가 아니면 안 되는’, 확실히 내가 해야 하는 영화에 주로 캐스팅되는 것 같다.
Q. 아. 그럼 수경에 대한 특별한 의미는 덜하겠다. 그렇더라도 여러 감독이 윤진서를 그렇게 생각한다는 건 대단한 일이다.
윤진서 : 행복하다. 그래도 그 행복은 잠깐인 것 같다. 내 이름으로 시나리오가 나오고, 영화가 만들어져도 배우란 직업은 위태롭다. 매번 영화를 찍고, 개봉할 때 되면 항상 불안하다.
ADVERTISEMENT
사진제공. FNC엔터테인먼트
[나도 한마디!][텐아시아 뉴스스탠드 바로가기]
[EVENT] 뮤지컬, 연극, 영화등 텐아시아 독자를 위해 준비한 다양한 이벤트!! 클릭!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