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영화 '중간계'의 언론시사회가 열렸다. 강윤성 감독과 배우 변요한, 김강우, 방효린, 임형준이 참석했다.
'중간계'는 이승과 저승 사이 중간계에 갇힌 사람들과 그 영혼을 소멸시키려는 저승사자들간의 추격전을 그린다.
강 감독은 "'롱 리브 더 킹' 이후에 6년 만에 관객들과 만나게 돼서 떨린다. 복귀작이 AI영화라서 더 떨린다. 여러모로 생각이 많다"라고 떨린 마음을 표했다.
이어 "작년에 '파인'을 찍고 있을 때 KT에서 짧은 분량의 AI영화를 찍어보자고 제안 왔다. '뫼비우스'라는 짧은 시나리오를 써놓은 게 있었는데, 그걸 장편 영화로 바꿔서 찍어보겠다고 했다. 올해 3월 말만 해도 실사영화와 잘 섞이지 않을 정도로 기술이 떨어졌다. 저희가 촬영하는 도중에도 기술이 계속 발전했다. 여러분이 보신 버전은 최신 기술로 했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AI 활용으로 제작비는 얼마나 절감됐을까. 강 감독은 "여러 여건이 섞여서 제작비가 얼마만큼 절약됐다고 말하긴 어렵지만, 예를 들면 차량 폭파 장면이 보통 CG 작업으로 한다고 했을 때 못해도 4~5일 걸릴 일이라면 AI로 하니 한두 시간이면 됐다"고 말했다.
작업 방식에 대해서는 "처음 기획 단계에서 AI와 VFX 협업을 논의했다. 초반부터 VFX는 AI를 서포트한다고 전제하고 AI가 주가 되게끔 했다. 캐릭터 디자인, 액션은 AI가 하고 모자란 부분은 VFX가 도와준다고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크리처 디자인에 대해서는 "AI팀이 크리처도 같이 했다. 동작, 액션 연출이 당시 AI 기술로는 막혀 있었는데, 여러 기술을 사용해서 싸움 장면을 만들고, 부족한 부분은 VFX로 리터칭했다"고 전했다.
강 감독은 "AI가 배우를 대체할 순 없다. 배우 한 명 한 명이 크리에이터"라고 강조했다. 대신 전통적인 작업 방식의 변화가 있었다고. 그는 "예를 들어 어떤 배우가 날아가야 한다든가 사고 장면이 있다든가 하면 CG 기술을 사용하는데, 그런 기술이 AI 쪽으로 대체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폭발 장면 같은 경우 AI의 활용도가 높다. 시간도 단축시키고 비용도 적게 들어간다. 이번에 크리처가 많이 등장한다. 조계사 안에 연등이 많은데, 연등 아래 크리처를 묘사하는 데 있어서 AI가 약점이 있다. 거기는 CG가 강한 강점이 있다. 앞으로의 영화 작업들은 AI가 워낙 빠른 속도로 발전하기 때문에 대처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AI가 해야될 부분, CG가 해야될 부분이 구분돼야 하지 않을까"라고 전했다.
이번 영화는 2편을 예상케 하는 엔딩 장면으로 마무리됐다. 강 감독은 "2편도 시나리오를 다 써놨다. 1편 들어가기 전에 2편에 대해서도 얘기가 됐다. 1편을 우선 개봉하고 시리즈형 영화로 접근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강 감독은 "'파인'을 찍을 때 AI 영상들을 봤는데, 이게 영상 산업에 엄청난 영화를 미치겠다고 생각했다. 짧은 단편을 제안받았을 때 긴 상업영화에 적용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프리 작업을 하면서 아직은 상업영화에 붙이기 어려운 수준이었는데, 작업하면서 발전 속도가 빨라졌다. 하루 지나면 발전해있었다. 그걸 보면서 AI가 영화 현장에 적극적으로 사용될 것이라 생각했다.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모든 일은 효율적으로 가게 돼 있다. 비용과 기간을 줄일 수 있는 AI 쪽으로 많은 산업이 흘러갈 것이라 생각한다. 힘든 영화, 드라마 업계에 AI가 좋은 모티브가 되어 활발한 작품 생성이 되면 좋겠다"고 바랐다.
'중간계'는 오는 15일 개봉한다.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bella@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