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대중문화계에 따르면 블랙핑크의 신곡 '뛰어'는 빌보드 미국 제외 차트 1위, 스포티파이 주간 1위 등 글로벌 무대에서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뮤직비디오 유튜브 조회수는 이날 오후 기준 8879만 회를 돌파했다. 유튜브 주간 인기곡 1위, 주간 인기 뮤직비디오 1위, 스포티파이 글로벌 주간 인기 차트 1위 등극이라는 성과도 냈다. 이는 K팝 그룹 최초·최다 스포티파이 글로벌 1위 기록에 해당한다.
국내에서는 22일 오후 멜론 메인 차트인 TOP100 차트에서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곡과 그룹 올데이 프로젝트의 'FAMOUS'(페이머스)에 이어 4위를 기록하고 있다. 해외에 비하면 다소 아쉬운 성적이지만, 초기 팬들의 반응을 고려하면 눈에 띄는 결과다.

이런 혹평이 나왔던 건 단순 무대 '직캠' 영상으로는 곡의 퀄리티를 좌우하는 사운드를 체감할 수 없어 곡의 매력을 느끼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카메라 마이크를 통해 수음된 사운드만 접할 수 있었던 탓에 왜곡된 저음과 강조된 고음역이 전달됐다. 곡 스타일 자체가 국내 시장에서 잘 쓰이지 않는 '하드스타일 테크노'라는 EDM 장르인데, 곡의 매력조차 전달할 수 없으니 국내 팬들 입장에선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었다.

B급 감성의 뮤직비디오도 한몫했다. 하드스타일 테크노라는 장르는 국내에서는 익숙하지 않아 '박명수 노래 같다', 'B급 감성'이라는 지적이 따르기 쉬웠다. 하지만 뮤직비디오의 콘셉트 자체가 그러한 콘셉트를 전제로 하고 있어 오히려 이 감성을 즐길 수 있게 만든 측면이 작용했다.
뮤직비디오를 본 국내 팬들은 "뮤비 보면 병맛 느낌에 노래도 외국에서 유행하는 테크닉 느낌", "K팝에 없는 참신한 콘셉트로 돌아온 블랙핑크가 너무 좋다", "이번 신곡 파격적이다. 믿고 보는 블랙핑크"라고 평가하며 호응을 보이기 시작했다.
하드스타일 테크노라는 장르는 국내에서 소외됐을 뿐, 해외에서 지속해서 소비돼 온 장르라는 점도 재조명되고 있다. 이에 대한 업계 전문가들의 분석이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으로 국내 대중에게 소개되면서 장르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추는 효과도 함께 얻고 있다.
이민경 텐아시아 기자 2min_ror@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