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와 팬의 불가분관계
서로 다른 방향성의 두 영화
우리가 고민해야 할 지점은?
서로 다른 방향성의 두 영화
우리가 고민해야 할 지점은?

'덕질'과 관련해 한국 대중음악의 역사에서 서태지와 아이들의 데뷔를 빼놓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 1992년 데뷔한 서태지와 아이돌이 등장하면서 아이돌, 아이돌 스타, 하이틴 스타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됐기 때문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이르는 1세대의 H.O.T, 젝스키스, 신화, S.E.S, 핑클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팬덤 문화가 형성됐다. 노란색, 파란색, 하얀색 풍선은 각 아이돌을 상징하는 색깔이 될 정도였고, 이후 2세대 아이돌 동방신기, 슈퍼주니어, 카라, 소녀시대에 이르며 전성기가 시작됐다. 지금은 3세대, 4세대에 이르는 개념까지 탄생했다.
물론 '덕질'은 비단 아이돌이나 가수에만 한정된 용어는 아니다. 한 분야에 몰두하는 '덕질'은 누군가를 열렬히 애정하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 스타를 응원하면서 마음의 위로를 받기도 하고 삶의 원동력이 되는 선한 영향을 주기도 한다. 하지만 빛이 있다면 어둠도 있는 법. 스타의 추락은 팬들의 마음을 갈기갈기 찢어놓는 상황을 만들기도 한다.
◆ 위로받았던 그의 노래로 뮤비 만든다!
'듣보인간의 생존신고'(감독 권하정, 김아현)

'듣보인간'이라 불리는 권하정, 김아현, 구은하는 가수 이승윤의 '무명성 지구인' 뮤직비디오를 직접 만들고 이승윤에게 뮤직비디오 USB를 전달하기에 이른다. 만약 전달하기만 했다면, 영화는 세상의 빛을 보지 못했을 것이다. 단순히 제작한 것만이 아닌 무명 가수였던 이승윤의 첫 뮤직비디오를 함께 하고 싶다는 제안을 했던 것. 계란으로 바위치기인 듯 보였지만, 계란이 깨지면서 진심 어린 마음이 닿았던 걸까. 이승윤은 듣보인간들의 제안에 흔쾌히 함께 하자며 응답한다.

섭외했던 장소가 무산되거나 촬영 일정이 꼬이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좌절됐던 상황을 털고 일어나 뚜벅뚜벅 걸어가는 이들은 이승윤의 노래처럼 영웅을 닮아있다. 특히나 "이승윤은 안중에도 없고 본인들이 하고 싶었던 것을 한다는 그 말이 참 좋았습니다"라는 말은 '듣보인간의 생존신고'의 핵심이다. 팬으로 시작했지만, 아티스트의 뮤직비디오를 제작까지의 과정을 담은 '듣보인간의 생존신고'는 단순히 그들만의 이야기가 아닌 어디선가 자신의 자리를 지키며 빛나는 하루하루를 보내는 모든 듣보인간들을 위한 영화다.
◆우리 오빠가 범죄자라니...
'성덕'(감독 오세연)

오세연 감독의 '성덕'은 사랑했었던 스타를 떠나보내며 자신이 걸어온 과거의 한 페이지를 되짚어본다. 개봉했던 당시, '성덕'이 많은 관객들의 호응을 받았던 이유는 살면서 누구나 한번쯤은 좋아했던 누군가를 떠올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듣보인간의 생존신고'가 스타와 팬의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관계에 대해 말한다면, '성덕'은 그런 영향력 아래서 살아갔지만, 이제는 떠나보내야 함을 이야기한다.

팬과 스타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다. '듣보인간의 생존신고'에서 무명 가수였던 이승윤은 듣보인간들에게 삶의 원동력을 줬고, 듣보인간들은 이승윤의 뮤직비디오를 제작했다. '성덕' 역시 마찬가지다. 스타의 말을 버팀목 삼아 살아가던 팬들은 스타의 추락에 충격을 받기도 하고 믿지 못하기도 한다.

이하늘 텐아시아 기자 greenworld@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