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리에 BTS까지 깍아내린 중국
국제 사회서 역풍 맞고 한 발 물러나
반복되는 中 네티즌 간섭에 우려 고조
국제 사회서 역풍 맞고 한 발 물러나
반복되는 中 네티즌 간섭에 우려 고조

이번 사건의 발단은 방탄소년단의 '밴플리상' 수상 소감이었다. 방탄소년단은 지난 7일 미국 비영리단체 코리아소사이어티에서 한미관계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밴플리트상'을 받았다. 수상 후 리더 RM은 "올해는 한국전쟁 70주년으로 우리는 (한미) 양국이 함께 겪었던 고난의 역사와 많은 남성과 여성의 희생을 영원히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를 접한 중국 누리꾼들은 RM의 발언에서 중국이 빠진 것에 대해 "6·25 전쟁에서 희생된 중국 군인을 무시했다"고 지적했다. 일부 누리꾼들은 "오늘부로 '아미'(방탄소년단 팬클럽)에서 탈퇴하겠다", "BTS가 광고하는 한국 기업도 불매 운동하자", "BTS를 응원하려면 중국 국적을 포기하라"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중국 관영 매체 환구시보는 "'(한미) 양국이 겪었던 고난의 역사'라는 수상 소감이 중국 네티즌들의 분노를 일으켰다"고 보도했다.

그러자 중국의 자오리젠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12일 공식석상에서 이례적으로 한 발 물러섰다. 대변인은 "BTS 문제에 관한 보도와 네티즌의 반응을 주목하고 있다"며 "역사를 거울삼아 미래를 향하고 평화를 아끼며 우호를 도모하는 것은 우리가 함께 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후 누리꾼들의 방탄소년단을 향한 악플로 줄어든 분위기다. 환구시보는 13일 방탄소년단을 비난한 기사를 내리거나 제목을 수정했다. 비슷한 목소리를 낸 다른 중국 언론사도 줄줄이 기사를 삭제했다.

방송을 본 중국 누리꾼들은 "'마오'가 중국의 전 국가 주석 '마오쩌둥'을 연상케한다"며 "이를 장난스럽게 언급한 것은 중국에 대한 모욕"이라고 분노했다. 당시 이효리의 개인 SNS에는 이같은 내용의 중국어 댓글이 도배됐다.
논란이 커지자 '놀면 뭐하니' 제작진은 "특정 인물을 뜻하는 의도는 전혀 없었다"면서 "더 이상의 오해를 막기 위해 유료 서비스에서는 해당 내용을 삭제했다"며 사과했다.
이효리는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얼마 뒤 인스타그램 활동을 중단했다. 그는 "최근에 있었던 일 때문은 아니"라면서도 "물론 아주 영향이 없진 않다"고 설명했다. 이에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는 이효리를 겨냥한 중국 네티즌의 사이버 폭력을 세계에 알리는 디지털 포스터를 제작해 각종 SNS에 배포했다.

정태건 기자 biggun@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