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중기X김태리 주연 '승리호', 9월 23일 개봉
송중기 "한국 최초 우주 SF에 도전정신"
김태리, 안하무인 캐릭터에 "적응할 시간 필요했다"
진선규 "캐릭터 위해 15시간 앉아 레게머리"
유해진, 한국영화 최초 로봇 모션 캡처 연기
송중기 "한국 최초 우주 SF에 도전정신"
김태리, 안하무인 캐릭터에 "적응할 시간 필요했다"
진선규 "캐릭터 위해 15시간 앉아 레게머리"
유해진, 한국영화 최초 로봇 모션 캡처 연기

'승리호'는 2092년, 우주쓰레기 청소선 승리호의 선원들이 대량살상무기로 알려진 인간형 로봇 '도로시'를 발견한 후 위험한 거래에 뛰어드는 이야기.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승리호'의 제작보고회가 18일 오전 온라인으로 열렸다. 조성희 감독과 배우 송중기, 김태리, 진선규, 유해진이 참석했다.
조 감독은 “10년 전 쯤 친구와 식사 자리에서 개인적인 이야기에서 시작됐다. 그 친구가 우주쓰레기에 대해서 이야기해줬다. 우주 산업의 폐기물이 늘어나는 속도가 어마어마하게 빠르고, 사고도 난다고 들었다. 총알보다 빠른 쓰레기를 수거하는 우주 노동자라는 소재에서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어 “찾아보니 우주쓰레기를 수거하는 직업이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서 다뤄졌더라. 저는 세계 어디를 가도 질긴 한국인들이 우주에서 이 일을 하면 어떨까 생각에서 시나리오를 쓰게 됐다”고 말했다.
또한 조 감독은 “이주 노동자 같은 신분으로 위험한 일을 하면서 하루하루를 먹고 사는 우주노동자들의 이야기”라며 영화에 담은 메시지를 설명했다.

‘늑대소년’에 이어 조 감독과 두 번째 작품인 송중기는 “촬영 당시 감독님이 이 이야기를 하신 적이 있다. SF장르이고 재밌는 우주 활극이라고만 얘기를 들었다. 우주쓰레기라는 소재를 듣고 나서 더 신선했고, 한국에서 우주 SF영화를 처음한다는 도전정신에 가장 많이 끌렸다”고 밝혔다. 이어 “감독님의 무궁무진한 아이디어와 만화적 색깔이 우주 SF와 만나면 어떨까 궁금했다”고 말했다.
조 감독은 송중기에 대해 “스스로 빈틈을 메우며 캐릭터를 창조하는 배우”라고 말한 바 있다. 이에 송중기는 “감독님이 너무 좋게 말씀해주신 거 같다. 채운다기보다 감독님이 대본에 이미 채워놨다. ‘늑대소년’ 할 때도 그렇고 ‘승리호’ 때도 감독님이 대본에 세계관을 많이 채워놔서 배우들이 채울 건 오히려 많이 없었다. 너무나 잘 만들어놓으셔서 우리는 좀 더 개성 있게 해가면 됐다”고 했다.

김태리는 캐릭터에 대해 “스마일이 그려진 티셔츠, 보잉 선글라스 등 캐릭터 설정은 이미 감독님이 머릿속에 그려놓고 있던 거라 나는 적응만 하면 됐다”고 말했다. 이어 “승리호를 개조하고 이끌 만큼 뛰어난 두뇌를 갖고 있는 인물이지만 클리셰적으로 완벽하게 표현되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 우리 영화 속에서는 똑똑하기만 한 인물보다 사람 냄새라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완벽하지 않고 조금 어리숙한 모습을 보여주려 했다”며 “뒤죽박죽 섞여있는 인물들에게서 어떻게 하면 가족적인 모습이 묻어날 수 있는지를 생각해야 한다고 유해진 선배님이 계속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조리있게 말을 잘하는 김태리에 송중기는 “화술 학원 다니냐”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이에 태리는 “굉장히 긴장돼서 그렇다”며 웃어 보였다.
극 중 장 선장은 안하무인. 김태리는 "거칠고 더럽고 영화 내 모든 인물들이 '쟤는 건들면 안 돼'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고 설명했다. 파격 변신인 것 같다고 하자 김태리는 "그래서 적응하는 기간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그는 “감독님과 처음 만났을 때 색다르고 내가 보여주지 않았던 느낌이면 좋겠다고 말씀하셨다. 감독님이 초안을 그림으로 그려서 보여주셨는데 브라질 분들이 레게머리를 하고 카포에라를 하는 모습이 멋있었다. 그래서 (감독님이 보여준 초안 중에) 이걸 한 번 해보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이어 “내가 15시간을 가만히 앉아 이 머리를 했다”며 “안 어울리면 그 자리에서 빡빡 깎겠다고 했다. 15시간 동안 만든 스타일인데 좀 괜찮더라”면서 자신감을 드러냈다.
조 감독은 “진선규가 머리를 땋은 것보다 고통은 네 달간 머리를 못 감은 것”이라고 말해 폭소를 안겼다.
진선규는 이번 영화의 대본리딩 현장이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그는 “대본리딩 현장에 외국분들이 많았다. 할리우드 영화에 캐스팅된 기분이 들었다. 신기했던 순간이었다”고 회상했다.

최근 ‘부캐’가 트렌드인데 오늘은 업동이냐, 유해진이냐는 물음에 유해진은 “오늘은 유동이다. 골뱅이는 아니다”며 유머 감각을 뽐냈다.
유해진은 “처음에는 목소리 출연 제의를 받았는데, 다른 분이 한 액션에 내가 소리를 맞추면 아무래도 내 것 같지 않은 느낌이 있을 것 같아서 모션까지 다 하겠다고 했다. 그래야지 서로 시너지가 날 것 같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시 집에서 마땅히 할 것도 없었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모션 연기가 쉽지 않았을 것 같다고 묻자 유해진은 “신선함에 목마름이 있어서 나한테도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다”고 답했다.
유해진은 ‘1987’을 통해 김태리와 한 차례 호흡을 맞춘 바 있다. 유해진은 “그 때 참 재밌게 작업했다. 방안에서 마이마이(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 같은 걸 선물해주고 이랬던 재밌는 기억이 있다. 그 때도 너무 좋았고 이번 작품도 같이 해서 좋았다. 김태리 씨는 언제든지 보면 좋다”며 동료애를 드러냈다. 김태리 역시 “저는 제가 굉장히 행운아라고 생각한다. 좋은 선배님을 다시 만날 수 있어 좋았다. 선배님과 두 번째 작품을 하면서 친해질 수 있어서 좋았다”고 말했다.

이번 영화에는 영국 출신 배우 리처드 아미티지가 우주 낙원 UTS를 만든 실질적 우주의 지배자 설리반 역으로 출연한다. 런던에서 영상을 통해 인사를 전한 리처드 아미티지는 “유해진, 진선규, 김태리, 송중기와 함께 작업하게 돼서 영광이었다. 설리반 역을 제안해주신 감독님께 감사드린다. 감독님이 주신 캐릭터에 대한 정보와 독창적인 스케치들이 연기에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또한 “생일에 케이크와 한복을 받았다. 한국의 많은 면을 보게 됐고 한국의 매력에 빠졌다. 더 중요한 건 한국의 사람들”이라며 촬영 에피소드고 전했다.

송중기는 “할리우드 영화의 전유물이었던 SF영화 속 우주선에 한글로 승리호라고 써 있고 태극기가 그려져있다. 또 첨단 우주선도 아니고 낡은 쓰레기 청소선이다. 그걸 상상했을 때 소름이 돋았다”며 자부심을 보였다. 또한 “편집 중인 CG를 본 적 있는데 승리호가 우주쓰레기를 낚는 장면은 관객들을 정신없이 몰아갈 것이다. 추천하고 싶다”고 귀띔했다.
진선규는 “많은 분들이 이 빨간색 (극장) 의자에 앉아서 우주로 날아갔으면 좋겠다”며 코로나19 시국의 안타까움을 전했다. 송중기는 “한국영화의 새로운 장을 조성희 감독이 또 연 것 같다”며 “요즘 힘든 상황이고 극장에 와서 여러분들이 즐기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한 줄기 근심을 덜어주고 싶다”고 소망했다.
'승리호'는 오는 9월 23일 개봉한다.
김지원 기자 bella@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