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솔루션 원조' 자부하는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시즌2 방영
제작사 대표 "시즌1은 내가 제작, 육아 트렌드 달라져"
"유사 프로그램과 달리 우리는 '집단지성' 차별점"
SBS플러스 제작팀장 "육아 문제 해결 시급"
제작사 대표 "시즌1은 내가 제작, 육아 트렌드 달라져"
"유사 프로그램과 달리 우리는 '집단지성' 차별점"
SBS플러스 제작팀장 "육아 문제 해결 시급"

6일 SBS플러스 새 예능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리턴즈'('우아달2') 온라인 제작발표회가 열렸다. MC 이현이와 이양화 SBS플러스 제작팀장, 이승연 ABO미디어 대표, 임상심리전문가인 조선미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 소아청소년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김남욱, 박소영, 오동훈, 최치현, 교육전문가인 최민준 자라다남아미술연구소 대표가 참석했다. 이날 제작발표회에는 참석하지 않았으나 노규식 정신의학과 전문의도 '우아달2' 전문가로 함께한다.
'우아달2'는 전문가들이 고민별 맞춤 솔루션을 제시하는 육아 시사교양 프로그램. 2005년부터 2015년까지 방영됐던 1편에 이어 2편으로 돌아오게 됐다.
이양화 제작팀장은 "요즘 육아 문제로 고민 중인 분들이 많다. 심각해지면 부모님의 갈등으로 이어지고 사회 문제인 저출산 문제로 연결된다. 육아 문제가 우리 사회에서 해결이 시급한 문제라고 생각했다"고 '우아달'을 시즌2로 부활시킨 이유를 밝혔다.
이날 온라인 제작발표회는 총체적 난국이었다. 먼저 사전에 녹화분이라는 안내 없이 생중계인 것처럼 공지됐다. 또한 중계 기술 문제로 오류가 생겨 20분가량 늦게 진행됐음에도 별도의 안내나 사과는 없이 갑작스럽게 녹화분을 내보냈다. 프로그램 제작진과 출연자, 제작발표회 진행자는 제작발표회 중 '아이들이 선생님 앞에서 속마음을 다 털어놓는다', '맘카페에서 유명하다' 등 자화자찬을 늘어놓고, 공동 제작하는 기업 LG U+의 홍보성 멘트를 강조했다. 원조 육아 솔루션 예능이라고 자칭하면서 제작발표회부터 삐거덕거리는 모습은 의아함을 자아내고 신뢰성을 떨어뜨렸다.

이번 프로그램에 합류한 전문가들에 대해서는 "제가 2월부터 시작해서 전문가 한 분 한 분을 어렵게 모집했다. 한 분 한 분 말씀을 조리있게 잘하고 현업에서 자리를 잡고 잘하는 분들이다. '우아달2'가 아니더라고 스케줄이 바빠서 힘든 분이다. 저희가 경희대, 연세대 원로 교수들에게 자문을 구하고 맘카페, 주변 정신과 전문의들에게 수소문해서 한 분 한 분 만나서 인터뷰하고 삼고초려해서 모신 분들이다. 각자 장단점이 있다"고 말했다.
7년 만에 부활한 이번 프로그램을 기획하며 이 대표는 "지금 유사한 육아 프로그램이 있다. 보면서 안타까웠고 아쉬웠던 건 한 명의 전문가가 일률적으로 판단하는 부분이었다"고 꼬집었다. '우아달2'만의 차별점으로는 3가지를 꼽았다. 이 대표는 "육아 트렌드가 바뀌었다고 생각한다. 2005년 시작할 때와 지금은 엄마들의 고민이 달라졌다. 유튜브부터 시작해서 정보들이 너무 많다. 엄마들이 하나의 정보를 가지고 부모에게 적용해서 잘못된 적용을 하는 부분이 많다. 그걸 탈피하고자 집단지성으로 접근하려고 전문가들을 어벤져스로, 각 분야에 디테일하게 모셨다"고 밝혔다. 이어 "조선미 교수님은 부모 문제, 어떤 분은 발달장애 등 한 분 한 분 전문 분야가 다르다. 아들과 아빠에 특화된 분도 있다. 한 분 한 분 장르별로 찾아가서 삼고초려 해서 모셨다. 우리 프로그램의 특징은 집단지성으로 하나의 사례자가 나오면 전문가들이 모여서 그 아이를 분석한 다음에 그 아이에 적합한 분이 찾아간다"고 말했다. 또한 "두 번째는 '찾아가는' 프로그램이다. 상담실에서 아이를 보는 것과 찾아가서 보면 다르다. 전문가들에게 제가 집을 둘러보라고 요청한다. 그 다음에 이 아이가 어떤 옷을 입고 있는지, 집에서 아이가 부모에게 하는 행동들을 보라고 한다. 그게 상담실에선 볼 수 없는 생생한 정보를 느낄 수 있을 거다. 그러면서 훨씬 솔루션이 디테일하게 이뤄진다"고 자랑했다. 그러면서 "세 번째는 찾아가고 난 다음에 솔루션을 말로만 전달하는 게 아닌 부모에게 하나하나 현장에서 전달하는 것이 우리 프로그램만의 서비스"라고 덧붙였다.


이현이는 최근 축구 예능에 출연하고 있는데, "제가 얼마 전에 축구를 시작했는데 그거보다 더 힘든 게 육아"라고 축구와 육아를 비교했다. 이어 자신의 역할에 대해 "전문가 선생님이 코칭해준다면 저는 부모님 입장에서 공감해주는 역할을 저절로 더 하게 되더라"고 전했다.

김남욱 전문의는 "진료실에서 발달이 느린 친구나 정서에 문제가 있는 친구들을 주로 보고 있다. 진료실에서 '이렇게 저렇게 해라'고 하는데 이게 집에서 적용되고 있는지 궁금했다. 진료실보다 열심히 해서 현실 육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오동훈 전문의는 "'우아달'이 명성이 높은 프로그램이라 처음에 제안받았을 때 고민이 많았다. 여러 선생님처럼 저도 진료실 밖에서 아이들을 보고 싶고 제가 의사로서 한 단계 더 성장할 기회라고 생각해서 하게 됐다. 처음에는 미진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겠다는 걱정이 있지만 한 걸음씩 성장하는 '성장캐'의 모습을 보여주겠다"고 의욕을 보였다. 최민준 대표는 "다른 분들이 아이들의 행동 치료, 교정에 대한 부분을 맡고 있다면 저는 그들이 잘하는 걸 찾아주고 채워줄 수 있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저는 이쪽 영역, 특히 자존감 부분을 신경쓰겠다"고 했다.

조선미 교수는 "병원으로 왔으면 이 아이의 문제를 몰랐을 것 같다고 생각했다. 문제의 과정을 볼 수 있어서 제한적 상담보다 효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솔루션을 제시할 때 신경쓴 부분에 대해 묻자 "저는 가능한 한 쉽게 솔루션을 드린다. 포스트잇에 써서 냉장고에 붙여놓고 하루에도 몇 번씩 볼 수 있게 한다. 잘못되면 언제든지 돌아와서 시작할 수 있게 한다"고 답했다. 또한 "부모가 양육 태도를 고칠 때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표정 등 비언어가 중요하다. 다정하게 하는 분들도 있고 다정하게 한다고 생각하면서 그렇지 않은 분들도 있다. 현장에서는 그런 부분을 알려드리기 더 쉬웠던 것 같다"고 전했다.

전문가를 찾아가기 꺼리는 부모들에게 김상욱 전문의는 "어머니들이 큰 결심을 하고 소아정신과 진료를 보러 왔다가, 사소한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아이의 인생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결정이 내려지기도 한다. 정신과 진료 기록을 걱정하는데 의사들이 성급하게 진단하지 않는다. 상담해서 괜찮으면 괜찮다고 안심시킨다. 병이 곯아지기 전에 걱정된다고 생각할 때 가볍게 상담하는 게 아이들에게도 도움이 되고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일이다"고 조언했다.

육아 부모에게 꼭 해주고 싶은 이야기를 요청하자 박소영 전문의는 "요즘 육아 정보가 넘쳐난다. '우아달'에서는 전문가들이 기본에 충실한 얘기를 전달 드릴 것이다. 우리 아이와 내 상황이면 어떨까 이런 마음으로 보면 좋을 것 같다. 육아하는 모든 분이 본인의 육아에 적용해보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귀띔했다. 최치현 전문의는 "양육은 기술보다 태도다. '우아달2'를 통해 아이들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방법과 솔루션을 익힌다면 여러분도 전문가 못지않은 육아 고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미 교수는 "사랑은 다 하는 거고, 사랑하지 말고 친밀한 관계를 맺어라"고 조언했다.
'우아달2'는 오는 10일 밤 8시 30분 첫 방송된다.
김지원 텐아시아 기자 bella@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