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에 비디오는 라디오 스타를 죽였다. 그리고 2010년에는 트위터가 인터넷 기자들을 죽일지도 모른다. 미니홈피나 블로그보다 단순하지만, 그만큼 더 빠르고 강한 파급력을 가진 트위터는 연예 매체의 정보 생산 방식 자체를 바꾸고 있다. 이제 매체의 기자들은 좋든 싫든 트위터 시대에 적응해야할 상황이 됐다. 그래서, 가 아이폰4를 기다리며 트위터를 애써 바라보지 않았던 한 기자에게 1주일동안 억지로 스마트폰을 쥐어줬다.“아까 사진을 찍었어야 했나?” 기자 K는 야근을 위해 침을 맞으러 한의원에 가며 생각했다. 그는 조금 전 있었던 시사회에 있었다. 영화 시작 전 이병헌과 최민식이 무대 인사를 나왔을 때, 스마트폰으로 그들의 사진을 찍지 못한 것이다. “아직 적응이 덜 됐나?” 그러면서도 그는 부지런히 스마트폰의 자판을 눌러댔다. 트위터에 에 대한 간단한 의견을 올리기 위해서였다. “는 잔인한 거 보다 늘어지는 게 더 문제네요.”


이틀 뒤, K는 낙산에서 열린 ‘썸머위크엔티’ 페스티벌에 있었다. 그는 스마트폰으로 계속 공연장의 상황을 찍었다. 물론 멘션을 올리기 위해서였다. 끊임없이 자신의 팔로워들이 어떤 글들을 올렸는지 확인하며. 불과 한 두 시간 사이, 트위터는 난리가 났다. K가 짧게 재범의 인터뷰 소식을 올렸기 때문이다. 그의 기자간담회 사진을 찍어 트위터에 올리자 순식간에 수십 개의 멘션이 올라왔다. 특히 기자간담회가 끝나고 그곳에서 운 좋게 재범을 따로 만나 찍은 사진과 간단한 재범의 코멘트를 올렸을 때는 몇 분 뒤 ‘트윗 방송’이라는 트위터에서 리트윗을 할 정도였다. 한 시간여 사이에 그의 팔로워는 100대에서 200으로 바뀌었다. 트위터로 공연 소식을 올릴 계획은 있었지만, 이런 상황에서는 반드시 해야 할 것 같은 느낌마저 들었다. 알토크랏츠, 재범, 타이거 JK와 윤미래, 비지가 무대에 오르는 동안 계속 사진을 찍었다. 그러면서 K는 은근한 불안감이 들었다. “이러다 오히려 공연을 제대로 못 보면 어떡하지?” K는 재범이 ‘믿어줄래’를 부르는 동안 사진을 찍다 동작을 멈추고 공연을 봤다. “공연을 보러 온 거지 트윗 하러 온 게 아니니까.” 그게 K가 정한 나름대로의 선이었다. 그러거나 말거나, 낙산에서 돌아올 때 쯤 K의 팔로워는 300명에 가까워지고 있었다.
K가 낙산에서 돌아와 올린 재범의 인터뷰 기사는 좋은 반응을 얻었다. 당연히 재범이 워낙 화제의 인물이기 때문이었지만, K가 올린 트윗들이 나름 홍보 역할을 한 것도 사실이었다. 그는 공연장을 빠져 나오는 사이 스마트폰으로 그의 트윗이 어떻게 퍼져 나갔는지 알 수 있었다. 트위터는 물론, 블로그와 재범의 팬페이지에도 그가 찍은 사진이 올라가 있었다. 그들이 월요일에 올라갈 기사를 기다릴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언론은, 또는 기자는 취재 대상이 소식을 알릴 수는 있어도 그들 자신을 홍보할 수는 없었다. 트위터는 그 역할을 해줄 수 있는 것 같다. 다만 오프 더 레코드는? 아니면 직업 윤리상 하지 말아야할 섣부른 추측을 트위터에 올린다면? 그리고 내가 트위터에 올리는 공연이나 시사회 소식은 내 개인적인 글인가 업무의 연장인가.


글. 강명석 two@
편집. 장경진 three@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