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러 도시들을 순회하며 열리는 워프트 투어는 한국의 록페스티벌과는 또 다르다. “서부 개척 시대에 마차를 타고 이동하는 것처럼 몇 십 대의 트레일러가 같이 이동하는” (드럼, 김진원) 투어는 한 자리에서 열리는 페스티벌보다 훨씬 터프하다. “회당 300불 정도만 받고 서는 무대”는 메인 스테이지도 아니다. 한국의 록페스티벌에서 헤드라이너였던 YB는 첫 공연 때 단 네 명의 관객을 앞에 두고 노래했다. “관객의 많고 적음을 떠나 무대에서 작아지는 느낌” (기타, 허준) 때문에 힘들었고, “음악 하는 애들한테 소문이 나서 관객이 한두 명씩 늘어”났을 때를 “다행”이라고 회상한다. 그럼에도 이들은 “내년에도 또 투어에 참가”할 예정이다. 한국에서 음악을 할 때는 절대 느낄 수 없는 것을 미국에서의 도전이 주기 때문이다.
“는 청춘이에요. 청춘의 시기를 이미 한참 지난 우리 나이에 도저히 할 수 없는 일인데, 로드트립을 하면서 배낭 하나 메고 여행을 떠나던 시절의 청춘을 경험했죠. 내년에도 또 갈 거예요. 가기 전에 저희 앨범이 미국에서 나오니까 그 땐 좀 다르지 않을까요? 정말로 간절하게 미국에 가서 뜨고 싶어요. (웃음)” (보컬, 윤도현) 네 명의 관객에서 시작된 투어가 마지막엔 수십 명의 관객에게서 앵콜 요청을 끌어낸 것처럼 그들의 새로운 도전 또한 많은 이들을 사로잡지 않을까? 다음은 YB의 윤도현을 음악으로 사로잡았던 영화들이다.

2006년 | 리암 린치
“그야말로 괴짜 영화의 최고봉이죠! (웃음) 실제로 터네이셔스 디라는 밴드의 멤버이기도 한 잭 블랙의 활약이 대단해요. 잭 블랙의 다른 영화 도 좋아하지만 상대적으로 가 덜 알려진 것 같아서 추천해요. 이들이 하는 음악도 되게 좋아요. 로니 제임스 디오가 포스터에서 나오는 장면이 인상 깊었어요. 올해 그분이 이승하고는 작별을 해서 더 생각 났구요.”
마지막 엔딩 크레딧이 끝날 때까지 쉴 새 없이 웃게 만드는 누가 봐도 딱 잭 블랙의 영화. 그러나 실제 밴드이기도 한 터네이셔스 디의 음악은 절대 장난이 아니다. 뛰어난 코미디 배우로서의 매력과 재기발랄한 뮤지션으로서의 잭 블랙의 역량 모두를 확인할 수 있다.

1988년 | 퍼시 애들론
“주제가인 ‘콜링 유’가 너무 좋아서 음악 때문에 봤죠. 영화의 색감도 너무 좋았구요. 먼지 낀 사막의 쓸쓸함이랄까요? 실제로 그곳에 가보고 싶은 느낌이 들 정도로 멋있었죠. 바그다드 카페에서 일어나는 작은 일들, 특히 누가 봐도 예쁘지 않은 뚱뚱한 아줌마가 너무 귀여운 걸 보고나니까 사람이 가지고 있는 매력을 함부로 판단해선 안 되겠더라구요. (웃음)”
에서는 모든 것이 몽롱하다. 사막 한 가운데에 툭 던져진 등장인물들처럼 관객들 또한 그들의 상황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그러나 서로에 대해 편견을 갖지 않는 사람들은 결국 친구가 되고, 오아시스보다 소중한 연대를 사막에 꽃 피운다.

1997년 | 이창동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언더그라운드 인생을 너무 뼈저리게 느끼게 해준 영화예요. 처절하게 때로는 잔인하게. 굉장히 어둡고 묵직하게 현실을 그린 영화죠. 조직폭력배가 등장하는 이야기이긴 하지만 한국 조폭영화의 약간은 유치하고 그려졌다는 기분을 전혀 못 느꼈어요. 아, 이건 진짜 사람 이야기구나… 되게 안타까워하면서 봤어요.”
별 볼일 없는 청춘들이 이리저리 치이면서 변해가는 막동의 모습과 함께 개발에 피로한 당시 한국의 모습이 10년이 지난 지금도 낯설지 않다. 과 를 통해 완성형에 가까운 세계를 보여주고 있는 이창동 감독의 데뷔작. 소설에서 영화로 방향타를 바꿔 든 감독의 날 선 시절이 느껴진다.

1988년 | 미야자키 하야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작품들을 워낙 좋아해요. 와이프도 좋아해서 집에 DVD도 많이 모아놨구요. 이 감독님의 영화들은 정말 상상력을 마음껏 넓혀줘요. 그러면서도 에이 말도 안 돼, 하면서 허황되게 생각하는 게 아니라 진짜일 것만 같잖아요. 그래서 그 분의 영화를 보고나면 그날 밤에 꼭 꿈을 꿔요. 하늘도 막 날아다니고. (웃음) 는 캐릭터가 특히 귀여워서 좋아해요. 물론 토토로 인형도 집에 많구요. (웃음)”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에게 여름은 성장이 유예된 판타지의 시간이다. 시골로 이사 온 사츠키와 메이 자매 역시 낯선 곳에서 도토리나무의 요정인 토토로를 만나 고양이 버스를 타고 하늘을 난다. 언젠간 자매의 여름도 끝나겠지만 토토로와의 시간을 간직하는 한 그들의 추억은 영원할 것이다.

2000년 | 존 카메론 미첼
“뮤지컬 에 섭외 받기 전에 이미 좋아하고 있던 영화예요. 음악이 좋아서 두 번 정도 봤는데 자유에 대한 열망을 남자도 여자도 아닌 주인공을 통해 느꼈고, 게다가 주인공이 록 뮤지션이고 여러 가지 면에서 제게 맞는 영화라서 보면서 내내 들떴어요. 뮤지컬 때문에 다시 보게 됐을 때는 눈물도 흘렸어요. 물론 보면서 동작 같은 걸 연구해야 해서 걱정도 많이 했지만 (웃음) 은 잊지 못하는 영화죠.”
뮤지컬로도 오랫동안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영화 은 원작자인 존 카메론 미첼이 연출과 각본, 주연까지 맡으며 선댄스 영화제 등 각종 영화제를 휩쓸었다. 동 베를린의 소년이 미국으로 건너와 헤드윅이라는 록가수가 되면서 겪는 절망과 비극을 화려한 영상과 폭발적인 음악으로 담았다.

글. 이지혜 seven@
사진. 채기원 ten@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