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아시아=김주리 기자]
북한 인권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도록 권고한 내용의 결의안이 2년 연속 유엔 총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유엔 총회는 17일(현지시간) 북한 인권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도록 권고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북한인권 결의안은 찬성 119표, 반대 19표, 기권 48표를 받아 지난달 19일 제3위원회를 통과할 때보다 찬성표 7개를 더 받았다.
올해 북한인권 결의안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의 권고와 결론을 검토해 북한의 인권 침해에 대한 책임을 묻는 내용을 담았다.
특히 북한 상황을 ICC에 회부하는 방안과 반인도 범죄 책임자들을 겨냥해 효과적인 맞춤형 제재를 부과하는 방안 등을 권고했다.
북한에 대해서는 주민들의 모든 인권과 자유를 전면적으로 존중하고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인권침해를 즉각 중단하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유엔총회는 지난 2005년부터 11년 연속 북한인권 결의안을 채택했다. 지난해부터는 결의안에 ICC 회부 권고 방안 등이 포함되면서 무게감이 확연히 높아졌다.
김주리 기자 yuffie5@
사진. 유엔 홈페이지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유엔 총회는 17일(현지시간) 북한 인권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회부하도록 권고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북한인권 결의안은 찬성 119표, 반대 19표, 기권 48표를 받아 지난달 19일 제3위원회를 통과할 때보다 찬성표 7개를 더 받았다.
올해 북한인권 결의안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유엔 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의 권고와 결론을 검토해 북한의 인권 침해에 대한 책임을 묻는 내용을 담았다.
특히 북한 상황을 ICC에 회부하는 방안과 반인도 범죄 책임자들을 겨냥해 효과적인 맞춤형 제재를 부과하는 방안 등을 권고했다.
북한에 대해서는 주민들의 모든 인권과 자유를 전면적으로 존중하고 조직적이고 광범위한 인권침해를 즉각 중단하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유엔총회는 지난 2005년부터 11년 연속 북한인권 결의안을 채택했다. 지난해부터는 결의안에 ICC 회부 권고 방안 등이 포함되면서 무게감이 확연히 높아졌다.
김주리 기자 yuffie5@
사진. 유엔 홈페이지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