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글스토리’는 故신해철이 OST를 맡아서 그나마 알려졌던 영화였다. 흥행은 서울 관객 6,000여명에 머물렀는데 OST는 무려 50만 장 이상이 나갔다는 전설의 영화. 지금은 보고 싶어도 ‘어둠의 경로’로도 구할 수 없는 희귀영화다.
이 영화는 YB 윤도현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소재로 한다. 밴드가 하고 싶어서 파주에서 서울로 올라온 도현(윤도현)은 낙원상가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다가 겨우 팀에 들어가게 된다. 클럽 ‘록월드’에서 공연을 하다가 매니저(김창완)에게 발탁돼 엉겁결에 솔로가수 데뷔를 한다. 하지만 투자사가 앨범을 엎으면서 솔로 활동이 흐지부지되고 초심으로 돌아간 윤도현은 밴드를 다시 모아 공연을 열게 된다는 내용.
‘무한도전 - 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이하 토토가)를 보다가 ‘정글스토리’가 떠오른 이유가 있다. 이 영화는 90년대 가요계의 한 단면을 매우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다. 이때를 보자면, 80년대 파고다 시대가 저물고 90년대 홍대 인디 신이 꽃피기 전, 그러니까 한국 록이 활로를 찾지 못하고 언더그라운드로 침체되던 딱 그런 시기다. 상황이 그러하다보니 실제로 90년대에는 영화 속 도현처럼 많은 록 보컬리스트들이 밴드가 아닌 발라드가수로 데뷔했다. 암흑기였던 것이다.

영화는 망했지만 OST에 담긴 신해철의 노래 ‘절망에 관하여’ ‘아주 가끔은’ 등은 히트곡이 됐다. 당시 수많은 청춘들은 노래방에서 ‘절망에 관하여’를 절규하며 불렀다. 이 곡은 영화 속에서 윤도현이 소수의 관객을 앞에 놓고 공연을 하는 슬픈 장면에서 연주곡으로 흐른다.
그런데 정말 영화 같은 일도 벌어졌다. ‘정글스토리’에 출연할 당시만 해도 무명이었던 윤도현이 정말로 록 스타가 된 것이다. 영화에서처럼 비닐하우스에서 살던 윤도현은 윤도현 밴드를 통해 히트곡을 내고 2002년 월드컵을 지나면서 스타의 자리에 올랐다. OST 속지에서 ‘크게 될 도현이’라고 적었던 신해철의 촉이 딱 들어맞은 것이다.

글. 권석정 moribe@tenasia.co.kr
사진. ‘정글스토리’ 캡쳐
[SNS DRAMA][텐아시아 뉴스스탠드 바로가기]
[EVENT] 뮤지컬, 연극, 영화등 텐아시아 독자를 위해 준비한 다양한 이벤트!! 클릭!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