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 교수는 28일 자신의 SNS를 통해 최근 온라인 상에서 논란이 된 중국 예능 '이판펑션(一饭封神)'을 언급했다. 해당 프로그램은 중국 기업 텐센트가 운영하는 OTT 플랫폼 텐센트비디오에서 지난 17일부터 공개되고 있다.
서 교수는 "중국에서 넷플릭스 '흑백요리사'를 베낀 듯한 요리 경연 예능이 등장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판펑션'은 요리사를 흑·백 계급으로 나눠 대결을 펼치는 방식으로, '흑백요리사'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 네티즌 사이에서도 모방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넷플릭스 측에서도 해당 포맷에 대해 중국에 판권을 판매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의 콘텐츠 표절 문제를 다시금 드러낸 사례"라고 덧붙였다.
서 교수는 문제의식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해당 프로그램이 김치를 '파오차이'로 소개한 장면도 짚으며 "많은 이들의 제보로 알게 됐는데, 김치를 담그는 장면에서 '김치'가 아닌 '파오차이'로 표기돼 있었다. 파오차이는 중국 쓰촨성 지역의 채소 절임으로, 김치와는 전혀 다른 음식"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은 수년간 김치가 자국에서 유래했다는 '김치공정'을 지속해왔다. 이제는 언론, SNS를 넘어 OTT 플랫폼까지 동원해 김치를 왜곡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이러한 상황을 오히려 역이용해 중국의 짝퉁 문화를 세계에 고발하고, 대한민국 김치를 올바르게 알리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거에도 서 교수는 넷플릭스 내 일부 콘텐츠에서 김치를 '파오차이'로 오역한 사례를 지적하며 지속적인 시정 요청 활동을 벌여왔다. 또한 중국의 불법 시청, 초상권 무단 사용 등 콘텐츠 윤리 문제에 대해 줄곧 비판적 입장을 견지해왔다.
논란이 된 '이판펑션'은 유명 요리사 16명과 신인 요리사 84명이 참가해 대결을 펼치는 포맷으로, 흑백으로 나뉜 유니폼 콘셉트와 무대 디자인, 촬영 기법 등이 넷플릭스 오리지널 '흑백요리사: 요리계급전쟁'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민경 텐아시아 기자 2min_ror@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