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 깊은 나무>, 고독한 왕이 준 선물
, 고독한 왕이 준 선물" /> 6회 SBS 수-목 밤 9시 55분
또 하나의 백성이 죽었다. 의 원작에서 집현전 학사 연쇄살인사건이라는 미스터리 소재가 세종 치세의 치열한 혁신을 드러내는 장치였다면, 그 시대정신의 근원을 더 깊이 파고들어간 드라마는 거기에 이도(한석규)의 피의 트라우마를 함께 녹여낸다. ‘이도의 조선’의 시작은 “무술년 그날 밤 이후로” 더 이상 그 때문에 죽는 백성이 없게 하겠다는 맹세로부터 비롯된 것이었다. 그 맹세의 계기가 된 장본인이자 ‘그가 살린 첫 백성’인 똘복(장혁)이 자신을 죽이러 돌아왔다는 아이러니한 사실을 알게 된 이도가, 그의 또 하나의 첫 백성 소이(신세경) 앞에서 격한 감정을 드러내는 장면은 그래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똘복과 소이는 “조선에서 일어난 모든 일은 왕의 책임”임을 일깨우며, 양반이든 노비든 계급에 상관없이 모두를 살리는 나라를 모색하려는 이도의 정치관의 해답이자 뿌리이다.

는 6회에서 똘복의 귀환과 이도의 그러한 정치관을 압축한 훈민정음의 첫 등장을 동시에 그려내는 에피소드들의 유기적 연결을 통해 작품의 주제를 더욱 단단하게 다진다. 마침내 일부의 모습을 드러낸 한글 앞에서 당황하는 사대부들의 혼란은, 한자를 앞에 둔 백성들의 심정과 대비를 이루며 한글이 지닌 전복성을 잘 보여준다. 그리고 마치 마방진을 맞추듯이 조합해낸 첫 한글이 ‘밀본’이라는 것과 그 조직의 수장 중 한 사람인 심종수(한상진)가 그것을 보고도 해독하지 못한다는 것은, 이 나라의 진정한 ‘밀본’, 즉 숨은 뿌리는 밀본지서가 말하는 사대부가 아닌 백성이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소이에게 던진 “네가 흔들리면 나도 무너진다”는 이도의 말은 그 뿌리가 흔들리지 않는 나무를 세우고자 고독한 길을 걷는 왕의 아픈 내면이다. KBS 에서 궁녀 나영(김하은)에게 솔직한 고뇌를 드러내던 정조(안내상) 이후, 백성 앞에서 맨얼굴을 내보이는 가장 인간적인 왕이 등장했다.

글. 김선영(TV평론가)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