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식스/ 사진 제공=JYP엔터테인먼트
데이식스/ 사진 제공=JYP엔터테인먼트
그룹 데이식스의 팬미팅에서 참석자 본인 확인 절차가 '갑질'을 연상시킬 정도로 깐깐했다는 지적이 제기된 가운데, JYP엔터테인먼트를 제외한 나머지 대형 엔터 3사는 이 절차를 상대적으로 유연하게 운영하고 것으로 확인됐다.

데이식스는 지난 18~20일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팬 미팅에서 입장 관객에게 금융인증서, 가족관계증명서, 생활기록부 등 과도한 본인 확인 서류를 요구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직계·방계 가족의 티켓 대리 예매는 허용하는 것으로 공지됐지만, 실제로는 입장을 막는 등 문제가 발생하면서 온라인상에서는 '갑질'이라는 비판이 확산했다. 스태프가 단체 채팅방에서 관객의 신분증 사진을 공유하거나, 현장에서 운영진이 특정 기준 없이 실물과 신분증 속 얼굴이 다르다는 이유로 입장을 막았다며 운영 미숙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이에 JYP엔터테인먼트는 21일과 23일 두 차례 공식 사과문을 발표했다. 지난 21일에는 "관객 보호를 위한 조치였으나 유연하지 못한 운영으로 불편을 드렸다. 관리상 책임을 다하지 못한 점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23일에는 "운영 업체에 입장 관리를 위탁해 진행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개인정보를 추가로 요구하거나 준비된 서류의 추가 확인을 위해 개인정보를 수집해 공유하는 행위 등 불편함을 유발하는 사안들이 발생했다"며 재차 고개를 숙였다.
블랙핑크 고양 공연/ 사진 제공=YG
블랙핑크 고양 공연/ 사진 제공=YG
다른 소속사들의 운영 방식을 살펴보면 본인 확인 절차는 이번 데이식스 팬 미팅과 동일하다. YG엔터테인먼트·SM엔터테인먼트는 JYP엔터테인먼트와 같이 '현장 수령 티켓 대상자'에 한해 본인 확인 절차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모바일 티켓이나 배송으로 미리 받은 티켓으로 입장하는 경우엔 별도의 본인 확인 절차 없이 입장이 가능하며, 관객이 현장에서 티켓을 수령할 때만 신분증 확인을 한다. 현장 수령 시에는 사전 고지된 예매자 본인 명의의 신분증을 통해 입장 여부가 결정된다.

다만, 본인 확인을 위해 과한 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신분증을 대조 후 예매자명과 신분증에 적힌 이름이 일치하면 빠르게 들여보낸다. 관객마다 붙잡고 신분증 사진과 실물의 차이를 '뜯어서' 보거나, 학교생활기록부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이에 팬덤 사이에서도 "이번 JYP 절차가 유별난 건 맞다. SM은 평범하고 YG는 본인 확인을 더 유연하게 한다"는 평이 최근 나오기도 했다.

하이브는 더욱 유연하면서도 확실하게 본인 확인을 한다. 얼굴인식 기반 '얼굴 패스'와 현장 대면 확인 방식의 '인패스'로 이원화해 운영한다. 얼굴 패스는 관객이 티켓을 예매할 때 미리 본인의 얼굴을 티켓 예매처인 'NOL티켓'를 통해 촬영하여 '암호화된 정보' 형태로 등록하는 방식이다. 공연장 입장 시 신분증 없이도 게이트 앞 카메라를 통해 얼굴 인식만으로 통과할 수 있다. 안면 인식 기술에는 인천 국제 공항 스마트패스 시스템에도 적용되는 토스의 안면인식 기반 솔루션이 활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NOL티켓에 업로드된 본인 얼굴 정보는 수정이 단기간 안에 불가능해 프리미엄을 붙여 얼굴 정보를 대리 등록하는 등 꼼수를 방지한다.

반대로 인패스는 사전에 얼굴 패스를 등록하지 않은 관객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방식이다. 타 엔터테인먼트사들의 본인 확인 방식과 동일한 구조로, 현장 본인확인 부스에서 신분증과 예매 내역서를 대조해 동일인 여부를 확인한다.
'본인 확인 갑질 논란' 데이식스, 홀로 문제 된 이유는…유연함 빠져 부러진 JYP [TEN스타필드]
이처럼 대형 엔터 4사 모두가 사전 예매 당시든 현장 확인이든 '본인 확인 절차'를 진행하기에 이 절차 자체가 잘못됐다곤 볼 수 없다.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티켓을 구매해 프리미엄을 붙여 파는 '암표'를 근절하기 위한 방침이기 때문이다. 다만, 팬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일관된 지침 없이 스태프가 관객의 개인정보를 유출하고 합당하지 않은 이유로 공연 관람을 막는 등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했다는 점이 큰 문제다.

이번 데이식스 팬 미팅 논란과 관련해 한 공연 업계 관계자는 "불법 암표 근절을 위한 최소한의 본인 확인은 필요하지만, 실효성 없는 과잉 확인은 오히려 관객 불편과 새로운 편법을 양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민경 텐아시아 기자 2min_ror@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