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5일 국내 개봉한 '오펜하이머'(감독 크리스토퍼 놀란)은 24일 기준 누적 관객수 188만5776명으로, 주말간 200만명을 돌파할 예정이다. '오펜하이머'는 세계적 영화 거장 크리스토퍼 놀란의 신작으로, 세상을 구하기 위해 세상을 파괴할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천재 과학자 오펜하이머의 핵개발 프로젝트를 다룬 작품이다. 놀란 감독의 명작으로 꼽히는 '인셉션', '다크 나이트' 보다 빠른 속도로 관객들을 모았다.

극장가 눈에 띄는 외화는 또 있다. '엘리멘탈'(감독 피터 손)은 누적 관객수 694만6760명을 기록, 700만 고지를 코 앞에 뒀다. '엘리멘탈'은 불, 물, 공기, 흙 4원소가 살고 있는 엘리멘트 시티에서 재치 있고 불처럼 열정 넘치는 앰버가 유쾌하고 감성적이며 물 흐르듯 사는 웨이드를 만나 특별한 우정을 쌓으며 자신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는 이야기. 디즈니-픽사의 '인사이드 아웃'을 이을 작품으로 기대를 모았다.

'엘리멘탈'은 불과 물 등 원소의 의인화를 통한 기발한 상상력과 재치 있는 연출이 특징으로 가족 단위의 관객들을 극장으로 끌어 모으며 입소문을 탔다. 북미 시장에서의 부진과 달리 국내에서는 흥행 돌풍 수준이다. 작품의 서사가 한국 정서에 부합한다는 평가가 있다. 이민자 2세인 피터 손 감독의 생생한 경험이 녹아진 스토리텔링이 국내 관객들에게 특별하게 다가왔다는 평가다.
이렇듯 관객들의 선택을 받기 위해서는 장점과 특징이 확실해 관객들을 사로잡을 뭔가가 있어야 한다. 그 정답의 핵심은 영화 그 자체에 있다. 비싼 티켓값, OTT 속 쏟아지는 신작들이 극장 침체의 이유가 될 수 없다. 관객 탓만 하고 있는 일부 영화 관계자들도 각성할 때다. 환경탓, 남탓하기에는 외화의 성적표가 눈에 밟힌다. 2023 전체 박스오피스 톱10 중 한국 영화는 단 3편 뿐이다. 구시대적 충무로 화법으로는 관객들을 극장으로 불러내기 어렵다. 뼈를 깎는 노력이 필요한데, 그런 자성의 움직임은 보이지 않는다고 많은 관계자들은 말하고 있다. 새로운 도전과 변화가 필요한 시기다.
최지예 텐아시아 기자 wisdomart@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