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포털, 검색사이트는 바로 이 ‘실검’으로 대중의 관심사를 실시간으로 반영한다. 그러나 ‘실검’이라는 어휘 자체의 의미는 대중의 관심이 그만큼 시시각각 변한다는 것이기도 하다.
‘실검’에 한 번 등극하려 몸부림치는 이들도 존재하지만, 그 한 번의 ‘실검’ 등극은 바로 1시간 후 또 다른 실검에 묻혀버리는 그런 시대인 것이다. 그렇지만 ‘실검’이 대중의 관심사를 반영한다는 것, 오늘날 대중이 어떤 부분에 열광하는지를 알 수 있는 하나의 지표가 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2015년 10월 23일 실시간 검색어에는 ‘전연령렌트카’가 올랐다.
#전연령렌트카, 누구나 빌릴 수 있는 차? 숨어 있는 함정 ‘피해사례 속출’
전연령렌트카에 대한 피해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23일 방송된 KBS1 ‘똑똑한 소비자리포트’에서는 전연령렌트카에 대해 소개했다.
매년 이맘때, 수험생을 대상으로 꼭 실시하는 설문조사가 있다. ‘수능시험이 끝나면 가장 하고 싶은 일’ 그 중 ‘운전면허 따기’ 는 매번 등장하는 답변 중 하나다.
하지만 면허를 따도 실제로 운전을 할 기회가 없기에 ‘전연령렌터카’가 인기가 있는 것이다.
‘전연령 렌트카’는 말 그대로 나이, 운전경력에 상관없이 면허만 있으면 누구나 차를 빌릴 수 있다. 하지만 ‘전연령 렌터카’를 이용하다 억울한 일을 겪었다는 피해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최근 만 20살인 구모 씨는 렌터카를 몰다 사고를 냈다. 앞차와 접촉사고를 내 범퍼 값 정도 내면 되겠거니 생각했지만 렌터카 업체로부터 요구받은 금액은 무려 1,500만원.
앞차와 접촉사고를 내 범퍼 값 정도 내면 되겠거니 생각했지만 런터카 업체로부터 요구받은 금액은 무려 1500만 원이었다.
문제는 보험이다. 렌터카 업체들은 1, 2만 원의 추가금을 내면 운전자의 차량 손해를 보상해주는 ‘자차 보험’에 가입시켜준다. 하지만, 만 21살 미만 운전자도 이용할 수 있는 이른바 전연령 렌터카들은 대부분 자차 보험을 받아주지 않는 것.
이 때문에 렌터카 업체가 자의적으로 보상금을 산정하는 경우가 많아 수리비와 차량 감가상각비, 휴차비 등의 명목으로 합의금이 천만 원을 넘기 일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