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성운 : 심은경의 매력을 보는 것만으로도 아깝지 않다. ∥ 관람지수 7
아들 자랑이 유일한 낙인 ‘욕쟁이 할매’ 오말순(나문희). 고생스레 자식을 길렀지만, 나이 든 지금은 짐스러운 존재다. 어느 날 자신을 요양원으로 보내려고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방황하던 말순은 오묘한 불빛에 이끌려 ‘청춘 사진관’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나올 땐 칠십의 할머니가 아닌 이십대 꽃처녀의 몸으로 변해 있다. 칠순의 말순은 스무 살 오두리(심은경)로 새로운 삶을 누리게 된다. 15세 관람가, 22일 개봉.
정시우 : 심은경 덕분에 124분을 버티긴 했지만… ∥ 관람지수 5 황성운: 영화 ‘수상한 그녀’의 포장지는 솔직히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지 못한다. 할머니가 우연한 기회를 통해 젊은 시절로 돌아가고, 자식 주변을 맴돌다 결국엔 본연의 위치로 돌아온다는 설정은 그림이 빤히 그려진다. 최근 유행인 타임 슬립이 더해졌지만, 이것만으로 ‘신선함’을 확보하긴 쉽지 않다. 가족 드라마라는 장르적 설명은 마지막 즈음에 눈시울을 붉히게 한다는 또 다른 의미쯤으로 해석된다. 또 심은경, 나문희, 박인환 등 ‘핫’한 배우들과는 조금 거리가 떨어져 있다. 그리고 심은경이란 배우가 약 2시간 동안 웃고, 울리고, 야이기를 할 수 있을지 걱정됐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영화를 보고 났더니 미안한 마음이다. 보기 전에 ‘그저 그런’ 영화라고 미리 판단했던 거에 대한 미안함이다. 식상하고, 빤한 흐름처럼 보였던 것들을 어떻게 엮고, 풀어 가느냐에 따라 재밌을 수 있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했다. 마지막 즈음에 눈물을 흘리게 할 거란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뜨거워지는 눈시울을 막을 수 없다. 무엇보다 심은경, 그녀가 만들어내는 약 2시간 동안의 쇼는 영화 관람료가 전혀 아깝지 않았다. 심은경의 매력을 보는 것만으로도 ‘수상한 그녀’은 성공이다.
ADVERTISEMENT
심은경의 활약은 이야기의 허술함도 잘 메꾸고 있다. 70대 오말순의 20대 꿈은 가수. 그리고 오말순의 손자 반지하(진영)는 ‘반지하 밴드’의 리더다. 인물이 어떻게 뭉칠지 굳이 설명해야 될까 싶다. 우연한 기회에 오말순, 아니 오두리는 반지하 밴드의 보컬로 들어가고, 음악방송국 PD 한승우(이진욱)의 도움으로 대중의 인기를 끌게 된다. 그리고 오두리와 한승우의 풋풋한 로맨스까지. 이 같은 전개 과정은 다소 허술해 보인다. 각 인물 간의 관계도 치밀하다고 보기엔 어렵다.
그럼에도 눈살 찌푸려지지 않는 건 이야기의 중심에 있는 심은경 덕분이다. ‘나성에 가면’, ‘하얀 나비’, ‘빗물’ 등 심은경이 부르는 옛 노래들은 자연스레 귀를 집중하게 만드는 힘을 지녔다. 인기를 얻어가는 밴드의 모습이 어색하지 않다. 20대 몸, 70대 정신세계의 오두리와 한승우의 로맨스는 유쾌하다. 또 마지막에 이르는 과정도 지극히 평범하지만, 그 안에서 진한 감동을 얻어가기엔 충분하다. 오두리의 실체를 알게 된 오말순 아들 반현철(성동일)이 흘리는 회한의 눈물에 따라가지 않을 사람이 몇이나 될까 싶다. ‘수상한 그녀’는 설 연휴를 노리는 작품. 시기적으로 안성맞춤이다. 그리고 마지막, ‘청춘 사진관’을 찾은 박씨의 20대 모습으로 등장하는 깜짝 인물은 극장 문을 나서는 관객에게 큰 웃음을 안긴다.
ADVERTISEMENT
‘내 마음과 같지 않은’ 자식들로 인해 상심한 오말순은 우연히 낡은 사진관을 찾았다가, 로버트 저메키스의 ‘백 투 더 퓨쳐’와 에릭 브레스의 ‘나비효과’의 세계로 빠져 든다. 그러나 시간은 멈춰 있고 주인공의 나이만 변한다는 점에서 ‘수상한 그녀’는 박해일 주연의 ‘소년, 천국에 가다’나 톰 행크스의 ‘빅’에 더 가까운 영화다. 몸은 ‘돌도 씹어 먹을’ 건강한 스무 살인데, 행동은 영락없는 할머니. ‘수상한 그녀’의 극적 재미의 대부분은 바로 이 부분, 몸과 마음이 따로 노는 괴리에서 빚어진다. 그 중심에 심은경이 있다. 남의 시선에 아랑곳 않는 용감한 칠순의 할머니가 됐다가, 짝사랑 하는 남자 앞에서 얼굴을 붉히는 스무 살 처녀가 되기도 하는 심은경은 능청스러움과 귀여움으로 화면을 장악한다. ‘수상한 그녀’를 보면서 이 여배우에게 사랑을 느끼지 않기란 불가능하다. 시간을 뛰어 넘어 심은경의 미래를 보고 싶은 궁금함도 밀려온다.
하지만 ‘수상한 그녀’는 매끈한 웰 메이드 코미디는 아닌 것 같다. 심은경의 발견이라는 쾌감은 분명히 있지만, 심은경의 매력만으로 2시간이라는 긴 러닝타임을 버티기란 살짝 지루하다. 드라마의 굴곡을 위한 장치가 인위적일 때도 많고, 어떤 장면은 ‘웃음을 위한 웃음’에 그친다. ‘선 웃음 후 감동’이라는 구닥다리 문법에도 매여 있는 인상이다. 뜨끈한 울림을 매만졌던 감독의 전작 ‘도가니’를 떠올리면 이 영화의 느슨한 전개나 안일한 엔딩은 특히나 아쉬움을 남긴다.
ADVERTISEMENT
글. 황성운 jabongdo@tenasia.co.kr
정시우 siwoorain@tenasia.co.kr
ADVERTISEMENT
© 텐아시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